economics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Drake (Faith//Off맧)
날 짜 (Date): 1998년01월07일(수) 02시44분42초 ROK
제 목(Title): Re: 50대 재벌 대부분이 아니라..


>기업 경영권이 넘어가서 좋은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는 건가요...
>
>쉬운 말로, 주식을 사서 기업을 인수한다는 것은
>그 회사가 벌어들인ㅈ 이익을 자기 나라로 가져간다는 뜻
>아닌가요?
>
>말 그대로 긍정적인 측/면?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것들은 앞서 말한 댓가에 비하면 너무 작은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는 경제에 대해서는 별 아는게 없지만...
평소 저도 궁금하게 여기고 있던 질문이 올라왔길래 
여러 고수님들의 고견도 들을겸 해서 제 생각을 올려봅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사실 국가경제전체로 볼때,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은 별로
크지 않은걸로 알고있습니다.
한창 반도체로 잘나갈때의 삼성의 일년 순이익이 일조원이
약간 못되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만 그건 정말 예외의 경우이고
나머지 회사들은 제아무리 메머드급 회사 (포철, 현대자동차...등등..)라도
기껏해야 일년에 1~2천억원 정도.....(요새 환율로 1억불도 안되네요..)
겨우겨우 적자나 면하고 있는 회사도 많고 , 적자인 곳도 상당수지요...

그러니 국가경제에서 기업의 순이익이 가지는 의미는 그다지 크지않다고
제 나름대로의 생각은 그렇습니다.

그것보다는.... 기업이 창출하는 일자리가 중요한게 아닐까...요...?
그 일자리에서 월급받은 고용인들이 다시 소비를 하고..
그 소비는 또 다른 누군가의  소득이 되고... 다시 소비.. 소득...소비.. 소득..

이렇게 해서 만약 1만명에게 월급을 주면 그 파급효과는 
이론적으로는 무한명에게 소득과 소비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거겠죠..
(만일 번 돈을 모두가 다 쓴다면..)

또, 제조업의 경우라면... 그 기업이 필요로하는 원자재를 만드는
또다른 기업에게 일감을 창출하는 셈이 될테고...

아뭏든...
기업의 순이익보다는 이런저런 파급효과들이 훨씬 더 중요한게 아닐까합니다.
그러니까 (한국은 한동안 등안시 했지만,) 중국, 동남아,  동유럽의 많은
나라들....심지어 선진국들 조차도  기를쓰고 외국회사들에게 
제발 와서 자기네 나라에 공장을 짓고서 돈벌어가라고 난리 아닙니까..??

그러니... 저의 짧은 소견으로는....
국내회사의 주식을 외국에서 많이 사들이는것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경영권을 자기들 입맛대로 좌지우지해가며 
우리나라에 해악을 끼친다면 몰라도...

오히려... 앞서 어느 분이 말씀하신..
선진경영기법의 도입... 투명한 경영... 소액주주들의 권리 보호등등의
좋은 영향도 많다고 봅니다.

이상... 경제의 '경'자도 제대로 모르는 문외한으로서의 제 생각을
써보았으니 틀린부분이 있다면 아무쪼록 많이들 충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만...

---쟝 아제베도! 내가 원소로 환원하지 않도록 도와줘!정말 너의 
---도움이 필요해.나도 생명 있는 뜨거운 몸이고 싶어.그런데 가끔
---그 줄이 끊어지려고 하는 때가 있어.내속에 있는 이 악마를 쫓아 
---줄 사람은 너야.나를 살게 해줘...  <전혜린 유고 중>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