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conomics ] in KIDS 글 쓴 이(By): artistry (워싱턴사과) 날 짜 (Date): 1999년 1월 14일 목요일 오전 03시 29분 22초 제 목(Title): 매경/지식경영관련 인터넷 사이트 1999년 1월 13일자 인터넷은 지식경영 최고전도사 지식경영과 관련된 자료를 얻고 싶다면 놓치지 말아야 할 수단이 바 로 인터넷이다. 정보의 보고(寶庫) 인터넷에는 지식경영에 대한 자료가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가득 담겨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검색엔진 인포시크에서 "Knowledge Management(지식경 영)"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수만개의 자료가 검색돼 나온다. 대학, 컨설팅, 지식경영 권위자들이 개설하는 신규 지식경영 사이트는 하루가 다르게 늘어가고 있으며 기존 사이트에서도 지식관련 자료를 계속해서 소개하고 있어 인터넷만 잘 활용하면 유용한 자료를 얼마든 지 건질 수 있다. 수많은 지식경영 사이트 중에서도 양질의 자료를 제공하는 곳은 어디 일까. 대표적인 지식경영 사이트를 소개한다. ●브린트(www.brint.com) 브린트는 요게시 말호트라 미국 피츠버그대 경영대학원 교수가 지난 95년 개설한 사이트. 월스트리트저널로부터 `세계 최대 지식경영 관련 문헌의 보고'라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이 사이트의 `지식경영 가상도서관'을 클릭하기만하면 지식경영과 관 련한 기사, 백서, 인터뷰, 참고문헌 등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요게시 말호트라 교수뿐만 아니라 토머스 데이븐포트, 로렌스 프루삭, 토머스 스튜워트, 칼 스바이비 등 지식경영 석학들의 최신 연구성과가 집약되어 있다. 지식경영 관련 행사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는 ` 온라인달력'도 브린트의 장점 중 하나다. ●지식사업(www.knowledgebusiness.com)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커다란 나침반 그림과 함께 △지식경영 도서관 △새로운 내용 △탐색 △프로필 등 4개 메뉴가 나타난다. 이 사이트의 핵심내용은 `지식경영 도서관(KM Resource Library)' 메뉴에 집약되어 있다. 1번 항목인 `시장조사와 설문결과'에서는 지식경영과 관련된 설문조 사와 실제 연구사례가 소개되어 있다. 유럽 1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지식경영의 혜택을 묻는 설문을 비롯해 가장 존경받는 20대 지식기업, 지식경영시스템 사용에 대한 설문 등 30여 건의 자료가 실려 있다. 2번 항목인 `국제 지식경영 뉴스'는 이스트만 코닥, 제록스,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IBM 등 선진 지식기업의 동향을 소개한다. `지식 경영자료 가이드' 항목은 지식과 관련한 유용한 자료, 책자, 소프트웨 어 등을 제시했으며 4번 `리뷰 페이지'는 지식경영 관련 서적 리스트 를 공개하면서 서평도 같이 실어놓았다. ●액세스KM(www.accesskm.com) `지식경영 자료(KM Resources)' 메뉴를 클릭하면 지식경영과 관련 한 기사와 책자, 지식경영 사이트주소를 구할 수 있다. 이중 △지식경영과 전자상거래 △99년 지식경영 추세 △당신의 지식 창고를 구축하라 등이 눈길을 끈다. 건물 모양으로 형상화한 `지식조직 모델'은 지식을 공유·창출하는 지식기업을 잘 설명하 고 있다. 이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기사(Articles by 3rd Parties)' 항목 도 참고할 만하다. 미국생산성품질센터(APQC)와 CIO잡지 등 다른 지식경영 사이 트에 실린 기사 중 양질의 자료를 소개하는 코너로 다양한 내용을 선 보이고 있다. 지식경영 전문컨설팅회사인 액세스 시스템이 개설했다. ●버나앨리(www.vernaallee.com) 학습조직과 지식기반기업에 대한 컨설팅 활동을 펼치고 있는 버나앨 리가 개설한 사이트. 홈페이지는 △지식경영 △시스템 사고와 가치 네트워크 △지적자본과 가치창출 △학습조직 △△글로벌 벤치마킹 등 8개 메뉴로 구성되어 있 다. `지식경영' 메뉴는 `지식경영의 정의'와 `12가지 원칙'을 비롯해 관련 기사들을 수록했다. `지적자본과 가치창출'`학습조직' 메뉴에서도 지적자본과 학습조직에 대한 정의와 함께 관련기사를 소개했다. ●KTI(www.kti.com) 미국 지식경영 컨설팅 회사인 KTI(Knowledge Transfer I nternational)가 개설했다. 홈페이지는 `아는게 힘이다(Knowledge is power)'라는 문구와 함께 △KTI소개 △KM Metazine △컨설팅 실적 이라는 3개 메뉴로 구 성되어 있다. 이중 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KM Metazine'에는 `지식생산성과 경쟁력'이라는 글을 포함해 약 10여개의 글이 소개되어 있으며 정보근 로자와 지식근로자의 개념적 차이점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암묵지와 형식지, 지적자본과 지식지도 등 기본용어를 정리한 텍스트도 얻을 수 있다. ●지식회사(www.knowledgeinc.com) `정신의 왕국(Empires of Mind)' 메뉴에 들어가면 `지식경제의 진정 한 혜택'`지식관리담당자(CKO)를 고용해야 하는가' 등 10여 개의 문 헌을 볼 수 있다. `스마트기업(Smart Enterprise)'에서는 지식경영의 성공비결과 휴렛캑커드(HP), 다우케미컬 등 선진 지식기업의 사례가 소개되어 있다. 또한 지식경영 관련 사이트를 엄선해놓은 `연결(C onnections)' 항목도 이 사이트의 강점이다. ●엔토베이션(www.entovation.com) "다가오는 지식사회에서 기업 발전의 기폭제는 혁신"이라며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강조하는 엔토베이션 사이트는 조직이 얼마나 혁신적인 지 판단하기 위해 간단한 `리트머스 테스트'를 실시해 볼 것을 권한다. `지식혁신' 메뉴에 테스트 문항이 실려있으며 10개의 문항 중 7개 이 상이 `예'이면 지식 혁신을 위한 좋은 토양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한다. 또한 이 메뉴에 실려있는 `지도자와 낙오자'라는 자료는 지식에 대한 개념도 모르면서 지식경영 운운하거나 조직의 핵심지식이 상실되는지 도 모르면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기업이 지식경영 실패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소개한다. ●지식경영포럼(www.km-forum.org) 지식경영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주고자 개인 컨설턴트로 활약중인 브 라이언 뉴먼이 개설했다. 데이비드 스컴, 요한 루스, 칼 스바이비 등 여러명의 지식경영 권위자 들이 참가한 지식경영포럼의 내용을 살펴보려면 `지식경영토론' 메뉴 를 선택하면 된다. 여기에는 △지식공유에 필요한 핵심요소 △지식습득방법 △지식경영의 역사와 미래 등 20여가지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돼 있다. 또 한 `지식경영논문' 항목을 클릭하면 30여편의 지식경영 관련 문헌을 접할 수 있으며 `지식경영은 무엇인가'에서는 기본개념을 잘 요약해놓 았다. 의견.제보 : column@mk.co.kr 경제용어사전 Comments or Questions to Webmaster@mk.co.kr Copyright ⓒ 1999 Maeil Business Newspaper Co.,Ltd. All Right Reserved.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활쏘기는 군자의 덕성과 비슷한 바 가 있으니, 활을 쏘아 과녁을 벗어나더라도 오히려 그 이유 를 자기 몸에서 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