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nggukUniv ] in KIDS 글 쓴 이(By): ottugi (오뚜기) 날 짜 (Date): 1995년06월21일(수) 05시26분24초 KDT 제 목(Title): PPP/SLIP(포대 pirl에서 참고 하세요!! ======================================================================= Dial up PPP/SLIP 설치 및 사용을 위한 안내서 ======================================================================= Posted By: kimsg (김승곤) on board 'unix & internet' Date: Sat May 13 21:35:48 1995 Title: 아이네트 전용 모뎀망을 이용한 Dial-up PPP/SLIP서비스 0. 개요. 기존의 환경에서는 대형 호스트에 계정을 가진 사용자가 모뎀을 통해서 접속 하여 터미날의 환경에서 인터네트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제 아이네트에서 제공하게 되는 PPP/SLIP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PC에서 윈도우즈에서의 TCP/IP환경에서 수행되는 Mosaic, Netscape 와 Eudora 같은 Winsock용 프로그램들을 직접 수행을 할 수 있게 된다. 1. 필요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그래픽 사용자 환경인 만큼 "윈도우즈 환경"이 기반이 된다. 또한, 모자익과 같은 프로그램을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모뎀도 적어도 9600이상이고 가능하면 14400이상이여야 한다. (1) PC: 386 SX이상의 윈도우즈 3.1이상의 환경 (2) 모뎀: 적어도 9600 BPS, 14400을 권장 (3) 기반프로그램: SLIP/PPP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3)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쪽에서 쓰이는 프로그램(trumpet winsock 2.0b)과 호스트쪽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tia)등이 필요하다. 2.0b)과 호스트쪽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tia)등이 필요하다. 2. 필요한 것들은 어디에서 얻습니까? * twsk20b.zip : Trumpet Winsock 2.0b 이여야 한다. Thread 27 of 447 (page 3): 전용 모뎀망을 통한 다이얼 업 PPP/SLIP 시범 서비스 * ns16-100.exe : netscape v1.0이상 * eudor143.exe : 윈도우즈에서 POP메일을 읽는 프로그램이다. * ws_ftp.exe : sz, rz필요없이 원도우즈에서 그냥 FTP를 할 수 있다. [0] 아이네트에 접속한 경우 아이네트의 다음 디렉토리에 가면 위의 프로그램들을 구할 수 있다. 디렉토리: /ftp/pub/packages/tia 화일들 : twsk20b.zip, ns16-100.exe, eudor143.exe, ws_ftp.exe [1] 나우콤을 이용하는 경우 인터네트 스터디 포럼의 자료실 인터네트 스터디 포럼의 자료실 go isf -> 15. 자료실 -> 2. World Wide Web(Winsock, Browser등) 37 twsk20b.zip (179015 Bytes) 2 ns16-100.exe (706838 Bytes) [2] 포스서브을 이용하는 경우 공개자료실 공개자료실 -> 1. 통신/BBS 204 winsock.zip 218 ns16-100.exe [3] 하이텔을 이용하는 경우 ?? [4] 천리안을 이용하는 경우 ?? 설치를 하고자 하는 분들은 위의 4개의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받아 download 설치를 하고자 하는 분들은 위의 4개의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받아 download 라는 디렉토리에 저장을 해 두고 다음의 설치지시에 따라 설정을 한다. 3. 설치에 있어서 알아야 하는 것들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사용자는 모뎀과 PPP/SLIP를 지원하는 장비를 갖춘 시 시스템에 접속가능한 계정이 있어야 한다. 중요한 환경의 설정값은 모뎀과 시스템의 계정이 있어야 한다. 모뎀: 포트번호 모뎀의 속도 시스템의 계정: 아이네트의 접속 전화번호 아이네트의 계정및 비밀번호 만약에 Shell Account가 없는 분들은 가입을 한 다음에 shell account를 얻은 다음에 접속을 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기반 프로그램의 설치 기반이 되는 winsock은 다음과 같이 설치를 한다. 여기서는 c:\download에 이 미 twsk20b.zip를 다운로드받아왔고 시스템에 .zip으로된 것을 해제할 수 있 는 pkunzip이 있다고 가정을 한다. (1) c:\> mkdir winsock (2) c:\> cd winsock (3) c:\> pkunzip \download\twsk20b.zip (4) c:\> edit \autoexec.bat (5) c:\> autoexec.bat (1)-(3)에서 winsock이라는 디렉토리에 twsk20b.zip를 푼다음에 autoexec.bat 에서 다음과 같은 것을 추가한다. PATH=c:\winsock;%PATH% SET winsock.dll=c:\winsock\winsock.dll 그리고나서, 시스템을 새로이 부팅하던가 아니면 이와 같은 것이 반영되도록 autoexec.bat를 다시 실행을 시킨다. │ Trumpet Winsock의 설정 │ Trumpet Winsock의 설정 │ (6) c:\> cd \winsock (7) c:\> win tcpman.exe (1) - (5)의 작업을 거친다음에 tcpman.exe를 맨 처음에 수행을 하면 설정에 관한 메뉴가 뜨게 된다. 이때,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한다.(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기 바란다.) 여기서 선택한 것은 [X]와 같이 표시된다. [1] BOX에서 *Internal SLIP*, 혹은*Internal PPP*를 선택 [2] SLIP Port는 *모뎀의 포트번호*를 기입 [3] Baud Rate는 *모뎀의 속도*를 기입한다. [4] Hardware Handshake를 *선택*한다. [5] Online status는 *None*으로 지정한다. [6] IP address는 *192.0.2.1* [7] Name server는 *203.255.112.1* [8] Time server도 *203.255.112.1* [9] Domain suffix는 *nuri.net*으로 한다. 기타 나머지는 원래 있던 것들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림* Trumpet Winsock의 네트웍 설정 Network Configuration │ IP address [192.0.2.1 ] │ Netmask [~~~~~~~~~ ] Default Gateway [~~~~~~~~~ ]│ Name server [203.255.112.1 ] Time server [203.255.112.1]│ Domain Suffix [nuri.net ]│ Packet vector [~~] MTU [1500 ] TCP RWIN [4096 ] TCP MSS [1460]│ Demand Load Timeout(secs) [5 ] TCP RTO MAX [60]│ │[ ] Internal SLIP [X] Internal PPP │ Online Status Detection│ │ │ │SLIP Port [3] │ │ │ │Baud Rate [19200 ] │ ⊙ None │ │ │[X] Hardware Handshake │ ○ DCD(RLSD) check │ │ │[ ] Van Jacobson CSLIP compression │ ○ DSR check │ │ [ OK ] [Cancel] │ 5. 실제 접속 *주의* Trumpet에서는 아직 한글이 지원되지않기 때문에 한글메시지기 깨지기 때문에 이점을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두가지 접속의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는 "Manual Login"를 통한 접 속이고, 또하나는 스크립트를 이용한 접속이다. [1] Manual Login를 통한 접속 (1) tcpman.exe를 띄운다. (2) 메뉴에서 "Dialler"를 선택하고, 그 서브메뉴에서 "Manual Login"를 선택한다. (3) "SLIP Disabled"라는 말이 나오면 Trumpet Winsock은 마치 통신 에뮬 레이터와 마찬가지로 동작을 한다. 여기서부터 아이네트에 접속하는 것은 기존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 ** 접속의 예 ** ──────────────────────┐ atdt 508-7100 │ atdt 508-7100 │ connected 14400/V.42bis │ Login: pppuser │ Passwd: │ [1] NuriNet > │ (5) 정상으로 작동을 하면 다음과 같이 수행을 한다. ┌ ** SLIP 의 실행 **────────────────────┐ │ [1] NuriNet > slip │ Your ip address is 203.255.112.156. │ ┌ ** PPP 의 실행 **────────────────────┐ │ [1] NuriNet > ppp │ │ (6) <ESC>키를 눌러 접속하는 과정을 마친다. 그러면, 화면에는 "SLIP Enabled." 혹은 "PPP Enabled."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된다. 이때부터 대부분의 winsock용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2] "Login" 스크립트 메뉴얼 로긴을 매번하기 귀찮으면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login.cmd를 download해 가시거나 그대로 쳐서 기존의 c:\winsock\login.cmd와 교체를 하시기 바랍니다. # 아이네트의 모뎀망을 통한 Dial-up PPP/SLIP를 사용할때의 "login.cmd"│ ###################### 여기를 반드시 고치십시요 ####################│ # │ # number --> 아이네트 접속 전화번호 │ # username --> 아이네트의 계정 ID (eg. "gildong", "mnt00296" ) │ # password --> 아이네트의 계정 비밀번호 (eg. "mohak143") │ # │ $number = "508-7100" $number = "508-7100" $command = "ppp" │ │ ################################################################### │ │ $modemsetup = "&f" │ $prompt = ">" │ $userprompt = "ogin: " │ $passprompt = "assword: " │ │ %attempts = 10 │ # │ # 모뎀의 초기화 │ # │ output "atz"\13 │ if ! [input 10 OK\n] │ display "모뎀이 작동하지 않습니다."\n │ abort │ end │ # │ # 모뎀의 셋업 │ # output "at"$modemsetup\13 │ # output "at"$modemsetup\13 │ input 10 OK\n │ # │ # 아이네트에 전화를 건다. │ # │ %n = 0 │ repeat │ if %n = %attempts │ display "Too many dial attempts"\n │ abort │ end │ output "atdt"$number\13 │ %ok = [input 60 CONNECT] │ %n = %n + 1 │ until %ok │ input 10 \n # │ # 뭔가, 걸리면 다시 ENTER를 치고 OUTPUT이 올때까지 기다린다. │ # │ output \13 │ wait 60 dcd # │ # # 명령어를 수행시킨다. # input 30 $prompt output $command\13 wait 25 dcd output \e online 6. Winsock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설치 Trumpet Winsock이 설치가 끝나면 이젠 정말로 *모자익*과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는 위에서 설명한 세개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치과정과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서 언급한다. │ World Wide Web 클라이언트의 독보적인 존재 (Netscape) 통계에 의하면 80여개나 되는 WWW의 클라이언트중에서 70 %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netscape이다. Netscape의 장점은 모자익을 사용하던 사람들 이 느끼는 포근함과 동시에 여러 세션을 열어서 받은 것은 그즉시 보여 주므로서 사용자가 느끼기에 매우 빠르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현재 원도우즈용은 ns16-100.exe가 나왔는데, 원래 상용프로그램인데 개인이 사용하는 것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모자익이 32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win32s를 깔아야 함에 반해 ns16-100.exe는 기존의 16비트 환경에서도 동작되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설치방법 (1) c:\> cd \tmp (2) c:\> \download\ns16-100.exe (3) c:\> win install ns16-100.exe는 원래 실행 화일이 아니고, 실행하면 압축된 것을 알아 풀어주는 "자체 압축(self extracting)"화일이다. 여기에서 풀어져서 나온 install.exe를 윈도우즈 환경에서 수행을 하면 설치에 관한 것을 알아서 해 준다. 디스크는 설치시에는 1메가미만이 필요하지만, cache를 위해서는 6메가 이상이 요구된다. 저 자세한 사항은 부록: 네트스케이프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이젠, sz/rz는 지긋지긋하다. FTP를 쉽게 (ws_ftp) 인터네트에서 받아온 데이타를 다시 자신의 PC로 받아오기 위해서 사용자 들은 sz를 사용했던 뼈 아픈 추억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바로 자신의 PC로 데이타를 받을 수가 있다. 그것도 아주 편한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가지고. 설치방법: (1) c:\> mkdir ws_ftp (2) c:\> cd ws_ftp (3) c:\> pkunzip \download\ws_ftp.zip 설치는 위와 같은 것으로 끝난다. 사용법은 지극히 쉽다. 보고, 느끼는 대로 행동을 하면 작동을 한다. 이것이 바로 사용자가 찾던 프로그램이다. 자신의 PC에서 메일을 읽고 싶어하는 이에게 (eudora) 옛날에는 커다란 시스템에 여러 사용자들의 계정이 있고 (물론 지금도 그렇지만) 사용자들은 터미날을 통해서 기계에 직접 접속하여 자신에게 온 메일을 읽고 보내곤 했다. 그래서 그때는 시스템이 단지 사용자들을 위한 메일박스(mailbox)의 역할을 했었다. 그러던 것이 PC등의 발달로 인해 자신의 메일은 자신의 시스템에서 직접 가져다 읽는 식의 형태로 바뀌었다. 이런 것을 POP(Post Office Protocol)이라고 하는데, 이것의 장점은 자신의 PC에서 직접 메일을 주고 받기를 할 수 있다는 점과 계속해서 연결이 되어 있지 않고, 메일을 보내거나 한꺼번에 받아올때만 집중적 으로 연결되어 데이타가 오고가는 식으로 진행이 되어 SLIP/PPP와 같은 적은 스피드의 링크에서 장점을 발휘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맥킨토쉬용으로 먼저 나와서 인기를 끌었던 유도라(eudora)가 윈도우즈 용으로 나왔고 1.4x버젼은 데모용으로 나왔 는데 (2.x 버젼은 상용 프로그램) 상용 프로그램과 기능상의 큰 차이는 별로 보이지 않고, 아주 쓸만한 프로그램이다. 설치방법: (1) c:\> mkdir eudora (2) c:\> cd eudora (3) c:\> \download\eudor143.exe -d 설정방법: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환경에 대한 설정을 하여야 한다. Special메뉴에서 Configuration과 Switch에 대한 것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가정은 이이네트의 계정이 gildong이라고 가정 한다. │ Configuration Network Configuration │ POP Account: gildong@nuri.net │ Real Name : 홍 길동(Hong, Gildong) │ SMTM Server: nuri.net Return Address: gildong@nuri.net │ Check For Mail Every: 30 │ Ph Server : _____________ (빈칸) │ Message Configuration │ 자기 취향에 맞게... │ Switch │ 통 다른 것은 건드리지 말고 Make Use QP를 선택하지│ 한다. (다른 곳에서 *한글*이 보이지 않으니 조심) │ 7. 결론 인터네트 서비스라고 말만 하였지, 막상 들어가서 UNIX 프롬프트에서 10여분 정도 장난치고 나면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했던 것이 사실이다. 어떻게 보면 정도 장난치고 나면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했던 것이 사실이다. 어떻게 보면 십수년동안의 인터네트 역사속에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라는 풍조와 어울 려서 발전한 지난 2년간의 동안이 인터네트 붐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 각하면 이번 서비스는 한차원 높은 진정한 인터네트 서비스를 받는다고 생각 할 수 있다. 8. 문의사항 전자우편: info@nuri.net 전화번호: 538-6941 팩스번호: 538-6942 (주) 아이네트 기술 부록 편 가. PPP와 SLIP TCP/IP 네트웍에서 모뎀을 통한 접속을 허용하는 형태가 바로 SLIP(Serial TCP/IP 네트웍에서 모뎀을 통한 접속을 허용하는 형태가 바로 SLIP(Serial Line IP) 프로토콜이다. 이 SLIP를 사용하면 비록 모뎀을 사용하여 접속한 것이지만 "인터네트" 의 완벽한 호스트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조금 후에 나왔지만 PPP도 역시 모뎀을 통한 접속을 위한 것으로 많이 사용이 된다. Trumpet winsock의 가장 최신 버젼인 2.0은 기존에 제공하던 SLIP뿐만 아 니라 PPP까지도 제공을 하고 있다. PPP가 최근에 지원된 만큼 뭔가 SLIP보 다는 낫은 점이 있다는 것은 눈치가 좀 있으면 알겠고, 하지만 왜!! 더 좋 은지를 알고 싶어하는 분들은 다음을 읽고 보시기 바랍니다. 줄임말은 IP = Internet Protocol SLIP = 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CSLIP = Compressed SLIP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 PPP = Point to Point Protocol │ SLIP PPP │ │───── ─────────────── ───────────── │ │압축 원래는 없지만, CSLIP이라는 기본적으로 된다. │ │ 것이 나중에 생겨났음. │ │ ││접속설정 사용자가 손수 IP의 매개 변수을 IP의 매개 변수는 사용자는 │ │ 설정해 주어야 한다. 전혀 몰라도 된다. │ │에러탐지 못한다. 고로 잡음이 심한 라인 에러탐지가 기본으로 되어 │ │ 에서 잘 깨진다. 있다. │ │지원회사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PPP를 │ 지원하기로 했으며, NT 3.5에│ 구현이 되어있다. │프로토콜 오직 IP만 지원한다. 다중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 예를들면 IP와 IPX등. │속도 SLIP/PPP는 별로 속도차는 없다. PPP가 압축을 지원하므로 약간│ │ 빠를 수도 있지만, 에러탐지 때문에 약간의 오버헤드는 있다. │ │ 대신, 잡음에 강하고 안정적이다. │표준 산업의 "de facto"표준이긴 공식적인 인터네트 표준이다.│ │ 하지만 인터네트 표준은 아니다. 전송라인 비동기라인 비동기라인,동기라인 한가지 명심할 점은 사용자들은 SLIP으로 연결이되든지 PPP로 연결이 되던지 winsock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는 아무런 영향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다. 단지,요런 것들이 차이가 있다는 것만을 알고 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나. 네트스케이프 (Netscape) 들어갈 볼 만한 곳 다음은 추천하고 싶은 곳으로 한번 들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timeinc.com/ 타임사의 웹 페이지 http://sunsite.unc.edu:80/winsock/ Winsock의 공식 웹 페이지 http://gnn.com/gnn/gnn.html Global Network Navigator http://sunsite.unc.edu/IUMA/index_graphic.html Internet Underground Music Archive http://remarque.berkeley.edu:8001/~xcohen/index.html Cinema S P A C E (영화 교육) http://akebono.stanford.edu/yahoo/ Yahoo - A Guide to WWW http://www.ibm.com/ IBM 웹 페이지 http://www.microsoft.com/ Microsoft 웹 페이지 http://compuserve.com/ Compuserve 웹 페이지 보다 빠르게 이용하는 방법: 프록시를 이용한다. 네트스케이프를 사용하는데 보다 빠르게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프록시를 이용하는 것이다. 현재 www.nuri.net(203.255.112.1)에는 이러한 프록시 를 위한 설정이 되어있다.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Options에서 Preference를 선택한다. 그러면 선택 하고자 것들에 대한 판넬이 뜬다. 이때, 맨 위에서 "Mail and Proxies"를 선택한다. 이때, FTP Proxy, Gopher Proxy, HTTP Proxy를 다음으로 맞 춘다. FTP Proxy: 203.255.112.1 Port: 8080 Gopher Proxy: 203.255.112.1 Port: 8080 HTTP Proxy: 203.255.112.1 Port: 8080 프록시를 거쳐서 일어나게 된다. 즉, 203.255.112.1이라는 호스트가 연결 하여 데이타를 가져온 다음에 이것을 PC에 전달하여 주는 방식이다. 이것 의 장점은 14400 BPS의 모뎀라인이 전체 통신라인에서 볼때 가장 느린 축 에 속하는 라인이고, 에러가 발생할 상황도 많다. 이때, 중간에 에러가 나면 재전송을 하는 등의 일때문에 속도가 느려 질 수 밖에 없다.하지만, 203.255.112.1와 다른 인터네트 호스트와는 빠르고 안정되어 있으므로 여 기서 일단 데이타를 갖고 있으면 재전송의 요구에도 빨리 전송이 된다. 두번째의 역할은 cache의 역할이다. 프록시는 캐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이 많이 들어가는 호스트는 이미 캐쉬에 데이타가 들어있기 때문에 프록시에서 바로 가져다가 PC에게 전달을 하기 때문에 해외라인의 트래픽도 줄어들고 속도도 빠른 이중의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네트스케이프에서 뉴스 읽는 법 네트스케이프의 뉴스 기능을 이용하면 뉴스를 아주 쉽게 읽을 수 있다. 뉴스를 읽기 위해서는 newsrc화일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은 자신의 Home 디렉토리에 있는 .newsrc라는 것을 download받아서 적당한 디렉토리에 둔다. (예를 들면 c:\netscape\newsrc) Options을 선택하고 서브메뉴로 Preference를 선택한다. 판넬이 뜨면 맨 위에서 "Directories, Applications and News"를 선택한다. 뉴스에 관한 것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News Server : news.nuri.net News RC File: c:\netscape\newsrc 설정이 끝났으면 "Directory"메뉴에서 "Go to Newsgroup"를 선택한다. 처음에는 이때부터 뉴스를 마우스로 Click해서 읽기 시작하면 된다.처음 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으면 "Subscribe"를 통해 가입한다. 외부 프로그램의 설치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보고 들을 수 있으려면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 많이 사용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GIF, JPG를 볼 때 : lview31.zip MOV(QuickTime) 를 볼때: qtw111.zip News Server : news.nuri.net News RC File: c:\netscape\newsrc 설정이 끝났으면 "Directory"메뉴에서 "Go to Newsgroup"를 선택한다. 처음에는 이때부터 뉴스를 마우스로 Click해서 읽기 시작하면 된다.처음 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으면 "Subscribe"를 통해 가입한다. 외부 프로그램의 설치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보고 들을 수 있으려면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 많이 사용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GIF, JPG를 볼 때 : lview31.zip MOV(QuickTime) 를 볼때: qtw111.zip WAV, AU를 들을때 : wplny11.zip 위의 것들을 설치하고 연결을 시켜 주기 위해서는 Options의 Preference 설정이 끝났으면 "Directory"메뉴에서 "Go to Newsgroup"를 선택한다. 처음에는 이때부터 뉴스를 마우스로 Click해서 읽기 시작하면 된다.처음 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으면 "Subscribe"를 통해 가입한다. 외부 프로그램의 설치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보고 들을 수 있으려면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 많이 사용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GIF, JPG를 볼 때 : lview31.zip MOV(QuickTime) 를 볼때: qtw111.zip WAV, AU를 들을때 : wplny11.zip 위의 것들을 설치하고 연결을 시켜 주기 위해서는 Options의 Preference 를 보면 "Helper Applications"에서 jpg, audio/basic, mov등을 설정한다. -- Yang, Jaeho jhyang@nuri.net _I-N,e,t.*Tech_ ==================================================== Form pirl BBS in POSTECH ============================================================================= 도움이 되시길...... postech pirl BBS자료실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