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ng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cooKing ] in KIDS
글 쓴 이(By): chang (장상현)
날 짜 (Date): 1999년 7월 15일 목요일 오후 11시 52분 33초
제 목(Title): Re: 요리의 기본을 알려주십쇼..


요리의 기본이라기 보다는..
몇가지 알아 두셔야 할점.. 일본 미소는 마지막에 넣지만 한국 된장은
양념중에 제일 처음에 넣습니다.

뜨거우면 맛이 사라지는 양념들.. 후추가루, 참기름, 파..
위의 것들과 버섯등은 다 끓은 다음에 넣습니다.

찌개 국물을 낼경우, 꼬리, 고기, 갈비 등등은 찬물에 넣고 끓이는데 오래 끓여야 
하므로 물을 좀 많이 넣고 약한 불에 끓입니다.
그리고 끓을때 위에 뜬, 피, 기름, 거품 등을 제거해 줘야 하죠.

통마늘을 보통 뼈나 고기 삶을 때 같이 넣지만 다진 마늘을 넣을 때는
좀 뒤에 넣습니다.

끓을때 보통 야채를 넣는 겁니다. 감자나 당근은 조금 오래 끓여야 되므로 일찍 
넣고 양파도 일찍, 애호박이나 버섯은 나중에..

고소한 된장찌개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냥 물대신 쌀뜬물을 쓰기도 합니다.

콩나물을 끓일때는 다 끓기 전에는 남비 뚜껑을 열면 안됩니다.

맑은 국물에는 소금간은 진한 국물은 국간장을 쓰지만, 김치찌개나 된장찌개는
김치와 된장이 양념이 충분히 되므로 간장이나 소금이 필요 없죠.

예를 들어 된장찌개를 끓일때..
우선 소고기를 끓여 국물을 내고, 된장 2 고추장 1 정도로 넣고 마늘, 양파,
해물, 등을 넣고 다음에 애호박이나 두부, 마지막에 버섯등..

그런데 이런것 요리책 하나만 읽어보면 다 나올텐데요?

참 와사비는 한국음식에도 있습니다. 남쪽이 원산지인 고추냉이가 바로 
와사비입니다. 

장상현
e-mail : schang@tuhep.phys.tohoku.ac.jp
http://www.phys.ufl.edu/~schang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