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atholic ] in KIDS 글 쓴 이(By): child (:: 아리 ::맧) 날 짜 (Date): 1997년10월15일(수) 22시20분28초 ROK 제 목(Title): (4)혁명적 자유의 힘과 보수의 힘 인류학은 종교를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다. 하나는 혁명적 자유의 힘이고, 또 하나는 보수의 힘이다. 위계서열적 계층성 의 모델은 보수의 힘과 상응하고, 평등적 비계층성의 모델은 혁명적 자유의 힘과 상응한다. 위계서열적 계층성의 모델, 곧 보수의 힘은 정통 기독교와 결부되어 있고, 평등적 비계층성 의 모델, 곧 혁명적 자유의 힘은 천년왕국운동이나 이단적 급 진주의와 결부되어 있다. 천년왕국운동이나 이단적 급진주의는 그들이 사회적으로 계 층상승을 하고 존경받는 지위가 되면 그 사회의 정점에 위치 하는 기존의 정통주의와 구분되지 않는다. 천년왕국운동이나 이단적 급진주의의 초기 종교 지도자들은 박해를 받지만, 그 들을 계승하는 후계자들은 합법적 체제의 옹호자가 되는 것 이다. 이것이 2-6세기에 걸쳐 서구 기독교 내부에서 일어난 일의 진상이다. 보수의 힘과 위계서열적 계층성의 모델은 기존의 정치권력에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이론이다. 혁명적 자유의 힘과 평등적 비계층성의 모델은 권리가 박탈된 사람들이 기존의 권위에 대 항할 때 자기 정당화로서 적합한 이론이다. 이 두 가지 이론 은 양극적이면서 변증법적이다. 즉 천년왕국운동이나 이단적 급진주의가 계층상승을 하면 그들이 떠난 사회의 최하층에는 공백이 생기고, 이 공백에서 또 다른 천년왕국운동, 또 다른 이단적 급진주의들이 끊임없이 생겨나는 것이다. - 끝 - 난 끊임없이 누군가를 찾는다. overlord@comp05.snu.ac.kr archmage@hitel 내가 누구인지도 모른체... overlord@chollian.dacom.co.kr s_jaeil@cd4680.snu.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