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NU ] in KIDS 글 쓴 이(By): jusamos (주세이모스吝) 날 짜 (Date): 1994년09월24일(토) 13시39분48초 KDT 제 목(Title): [백과사전16] 전체주의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개미에 관심을 갖는다. 어떤 사람들은 개미가 완벽한 전체주의 체제를 이루어냈다고 생각하면서 흥미를 느낀다. 사실 밖에서 보면 개미 둥지에서는 모두 똑같이 일하고,모두가 전체의 이익에 따르며, 모두 자기를 희생할 준비가 되어있고, 모두가 한결같은 모습이다. 그런데 인간의 전체주의 체제는 현재로서는 모두 실패했다...... 그래서 모듬살이 곤충을 흉내내려고 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나폴레옹의 휘장이 꿀벌이었음을 생각해 보라!). 개미 둥지 전체를 하나의 생각으로 통일시켜 주는 것이 페로몬이라면, 오늘날의 인간 사회에서는 세계적인 방송망을 가진 텔레비젼이 그런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자기 나름대로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제시하면서 모두가 따라주기를 바란다. 그렇게 하면 언젠가는 완벽한 인간 사회가 이루어지리 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삼라 만상의 이치는 그런 것이 아니다. 자연은, 다윈 선생의주장과는 달리, 가장 좋은 것이 지배하는 쪽으로 진화하는 것 이 아니다(게다가 좋고 나쁜 것을 어떤 기준으로 가를 수 있단 말인가?). 자연의 힘은 다양성 속에 있다. 자연 속에는 선한 자, 악한 자, 미치광이, 절망에 빠진 자, 팔팔한 자, 병자, 곱추, 언청이, 쾌활한 자, 슬픔에 빠진 자, 영리한 자, 어리석은 자, 이기주의자, 도량이 넓은 자, 큰 것, 작은 것, 까만 것, 노란 것, 빨간 것, 흰 것 등등이 다 있어야 한다. 갖가지 종교, 갖가지 철학, 갖가지 광신, 갖가지 지혜를 가진 자들이 다 있어야 한다. 다양한 것들 중에서 어느 한 종류가 다른 종류 때문에 소멸당하는 것, 위험이라면 오직 그것뿐이다. 어떤 밭에 옥수수가 있는데 그 옥수수들을 가장 좋은 이삭(즉, 물을 더 적게 필요 로 하고, 결빙에 가장 잘 견디며, 알고이 가장 실한 이삭)의 덩이 수꽃술로만 인공 수분을 시키면, 아주 하찮은 전염병이 돌아도 다 죽어버린다. 그에 반해서, 옥수수 한그루 한그루가 저마다의 특성과 약점과 비정상성을 지니고 있는 야생의 옥수수 밭에서는 전염병이 돌 때마다 그것에 저항할 수 있는 수단을 옥수수들 스스로 찾아 낸다. 자연은 획일성을 싫어하고 다양성을 좋아한다. 자연은 바로 그 다양성 속에서 본래 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