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uizWit ] in KIDS 글 쓴 이(By): leeho (:작은앙마:) 날 짜 (Date): 1995년04월10일(월) 14시29분06초 KST 제 목(Title): [Re] 환상님의 답... 환상님께서... 새로운 답을 말씀하셨는데... 일곱개도 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 이유를 설명드리죠. 일곱개를 이용할 경우는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작은 원 여섯 개로 큰 원의 테두리를 모두 덮은 후 가운데.. 빈 영역에 나머지 작은 원을 두는 방법... 이건 안 된다는 걸 아시죠? 일곱 개의 원이 모두 외접합니다. 따라서... 원 사이의 빈 공간이 남게되죠.... 자.. 그럼 생각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 일곱 개의 원을 가지고 큰 원의 테두리를 덮을 경우... 여섯 개로 테두리를 덮는 경우에는 작은 원의 중심이 큰 원의 테두리에 있어야 했지만... 이제 일곱 개로 큰 원의 테두리를 덮기 때문에... 작은 원의 중심이 있을 수 있는 위치가 큰 원의 테두리를 중심으로 하여 띠 형태가 되죠... 그럼.. 그 띠에서 큰 원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곳에다 모든 작은 원의 중심을 둔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가 최선의 경우이겠죠?) 큰 원의 중심이 덮여질까요? 후후.. 절대로 불가능 합니다. 작은 원의 갯수가 아무리 늘어나도... 이 방법으로 큰 원을 덮는다면... 작은 원들의 중심의 위치는 큰원의 중심으로부터 작은 원의 반지름보다 더 많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죠. (잠시만 생각하면 아실 듯) 음.. 두 가지 경우를 고려 했는데... 이 외의 경우는 생각할 필요도 없겠죠? 큰 원의 테두리와 교차되는 작은 원이 6 개보다 적을 경우 큰 원의 테두리 조차도 덮지 못하기 때문이죠. 후후... 전 수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환상님의 답변을 정말루 이해를 못하겠어요... 하지만.. 위의 제 설명을 조금만 체계적으로 적으면 7 개의 원으로 될 수 없다는 증명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모두들 생각해 보시와요... 그럼... =============================================================================== Looking for the good fellow who gives me tomorrow... - Petit Diable - E-mail : leeho@nlp.korea.ac.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