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bama () 날 짜 (Date): 1994년08월29일(월) 23시56분49초 KDT 제 목(Title): 계약교수제와 연구교수제를 도입 모 대학에서 국내에서는 최초로 계약교수제와 연구교수제를 도입한다는 기사를 읽고 계약교수제가 갖인 단점을 논하고자 함니다. 학교에 있지않고 앞으로도 학교에 있지않을 자신이기에 삼자입장에서 씁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대학의 조교수로 임용되어 5~6년 가량의 세월만 흐르면 >>부교수로 승진하고 또 8~10년만 되면 정교수로 자동승진하는 것이 교수사 >>회의 승진관행으로 돼 있다." 일반적으로 그런것은 사실이라고 듣고 있으나 그렇다고 다 그런 교수/학교 만있는것은 아닌데, 잘가르치고 연구도 많이하는 교수님들을(소수이겠지만) 격려는 못할지언정 같이 매도히는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 교육선진국의 대학교수들은 임용이 되어도 연구와 학생을 가르치는 교수 >>활동, 그리고 사회봉사등을 게을리하면 다음번 계약에서 연임될 수가 없다. >>따라서 선진국의 교수들은 임용된 후부터 더욱 많은 학문연구를 하고 가 >>르친 결과에 대해 대학당국과 학생들의 평가를 잘 받기 위해 열심히 가르 >>치며 산학 연구활동을 하려고 안간힘을 쓴다. >> 외부의 연구프로젝트를 많이 따와 연구를 해줌으로써 사회에 봉사하고 대 >>학재정에도 기여하는 활동을 게을리하면 재계약을 할 수가 없다. 올바르게 관찰하였는데, 제일 중요한 두점을 집고 싶다. 첫째, 선진국의 교수들은 대개의 경우 임용된 후 5-7년동안 연구활동과 학생을 잘가르치면 교수자신이 원할때 까지 있을수 있는 제도가 아직도 많은대학에 있고 위에서 말한것은 첫 5-7년의 교수들에 해당돼는 것같읍니다. 그후에 교수들은 모든것이 교수들 자신에 맡겨저 있읍니다. 그들은 그때부터 원하는 연구을을 많이하고 있읍니다. 둘째, 외부의 연구프로젝트를 많이 따와야 하는것은 사실입니다. 미국의 여러 대학 제정은 정부에서 많이 보조해 주고 있읍니다. 외부의 연구프로젝트에 의해 들어 오는 재정은 학교의 overhead(학교시설사용등 일반비)를 제한후 연구비로 충당돼고 있읍니다. 연구비가 많은 교수들은 연구비를 과에 제공함으로 가르치면 책임을 면하는 제도가 있읍니다. 그럼으로 학교에서 외부의 연구프로젝트를i 많이 따오는것은 당연하지요. 교수 임용만 되면 그날부터 연구활동이 느슨해지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도 적당히 때우면서 무사안일에 빠지는 폐단은 미국대학 사회에 일부 있는 것도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지금 한국에 사립대학의 재정은 정부에 보조없이 자체 꾸려나가야 하는 상태 입니다. 위에서 말한 연구비를 구하려 대학교수님들이 학생을 잘가르치는 대신 정부 출원연구소나 대 기업을 기웃거리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그렇다고, 지금 있는 정책이 좋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교수재임용제가 실패했던 것처럼 어떤정책이 쓰이던 제일 중요한것은 그것은 그 정책을쓰는 학교경영자나 대학교수님들의 양식에의해 잘된것이냐 잘못된것인가 결정될것 입니다. >> 아무리 교수사회가 지성들의 모임이라고 하지만 평가가 없으면 나태해지 >>고 무사안일에 빠질 소지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 교수업적평가제의 도입이 시급하고 또 대학들이 그것을 앞다퉈 도입하려 >>는 것도 무사안일에 빠지기 쉬운 임용제의 결함을 보완키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계약제든 교수업적평가제든 교수사회에 자극과 재충전을 위한 노력을 채 >>찍질하는 제도의 도입은 너무 때늦었다 할 수 있다. x대학의 계약교수제 >>가 많은 대학에 확산됐으면 하는 바람도 이 때문이다. 교수사회의 나태소지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는 말에는 동의하지만 제도의 도입 만이 교수의 질을 높이는것이 아니라는것을 지적하고 싶읍니다. 학생들의 질은 어떻읍니까? 사회의 교육에 대한 질은 어떻읍니까? 정부 교육정책은 어떻읍니까? 정부 교육정책을 세우고 시행하는 분들의 질은 어떻읍니까? 이 모든것에 답을할 정도로 유식하지도 또 교육분야에 있지도 않지만 한가지 이글을 읽는분들께 드리고 싶은것은 학생도 교수도 한가정의 일원 으로 시작 했읍니다. 가정의 어른아이 교육은 보든것의 근원입니다. 점수와 대학입시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너도 나도 착한마음을 갖인 귀여운 자식으로 키우면 그들이 학생이 돼고 교수가 될때 좀더 착한사회가 돼어 규제와 제도등이 많이 간편해 지지 않을까요... bam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