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olitics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News)
날 짜 (Date): 1994년08월23일(화) 01시31분50초 KDT
제 목(Title): [조선]<사설> `북 혼란'에도 대비해야 



    많은 사람이 이상하다고 생각될 때는 실제로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
다.  김일성사망  이후 북한의 [권력승계]가 이상하다.   공산 지도자의
권력 승계 기간을 보면,  구소련에서는 보통 하루 이틀만에 이루어졌고,
늦어도 4일을 넘기지 않았다. 중국의 모택동이  사망한후 화국봉이 당주
석에 오르기까지는 33일이 걸렸는데, 아닌게  아니라  4인방을 체포하는
심각한 권력투쟁이 있었다.

    김일성이 죽은지  한달 반이 지나도록 권력 승계가 공식적으로 이루
어지지 않은 것은 그런대로 이유가 있다 해도 김정일이 7월 19일 김일성
장례식 때 초췌한  모습을 보인후 전혀  공식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그래서 북한에도 지금 권력투쟁이 전개되고 있지 않나 하는  관측도
점점 더  유력하게 나오고 있다.   북한이 가장 크게 의존할 수 밖에 없
는 중국이 건국 기념일을 맞아 김정일을 초청했으나 북이 이를 거절했다
는 보도를 권력 승계의 난관과 연관시켜 보는  것도 결코 억측이 아니다.

     따라서 일단  북한 권력에 중대 변화가 일고 있으며 김정일의 승계
가 당연지사가 아닐 수도 있다는 가정을 심각하게 세워볼 시점이라고 생
각 한다.   김정일은 이미  20년 이상 후계작업을 해왔으므로 권력 승계
에 문제가 없다거나,  추도기간이기  때문에 효도를 하기 위해 총비서와
주석직에 오르지않는 것 같다는  주먹구구식 낙관에만  사로잡혀 사태를
그르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겠다는 것이다.   지금 북한  내부의 불투
명성에 비추어 그밖의 다른 가능성도 여러가지로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 가운데  우리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북한에 어느날 갑자기 우리
가 상상하지 못한 혼란이 돌발하는 사태이다.    그것은 우리가 지금 이
야기하고 있는 [갑작스런 통일] 이전에 올 수도 있다.

     중국의 문화혁명  때 대륙으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홍콩으로 탈출했
고, 지금도 쿠바의  혼란에 따라 미국에로 대탈출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역사적 사건이나  피안의 불로만 볼 것이 아니다.

     우리는 아직도 남북문제 해결은 가시권 밖에 있다는 관념에서 원론
적 차원의 접근에서 맴돌고 있다.   그러나 사태의  급변은 우리에게 그
러한 여유를 불허할지도 모른다.  먼저 북한에  갑작스런 혼란이 일어날
때를 상정하고 다음에 갑작스런 통일이 올 때를 대비하여 각론 차원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짜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

      사태가 그런  상황에 이르렀을 때  재정적으로는 어떻게 감당하고
군사적으로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며 또 국민들은 사회적으로 어떤 부
담을 각오해야  하느냐는 등 세부적인 방안을 실행 가능성있게 마련해야
한다.

      이 일을 국민 개개인의 피부에 와닿지 않는 문제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만일 북한에서 혼란이 일어나 그 파문이 남한에 크게 미칠 경우
우리가 이를 지혜롭 게 극복하지 못하면 남북한이 함께 혼란에 빠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