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cella (오대형) 날 짜 (Date): 2002년 10월 8일 화요일 오후 11시 57분 20초 제 목(Title): Re: 또 질문 darkman: 님은 제가 백과사전에서 인용한 문헌,상식,이성과 같은 정의를 사용한다고 하지만 전혀 다릅니다. cella님은 문헌과 관련된 집단의 이성과 상식이 더 중요하다 하는데... <상식에 관해> 1. 님자신이 통상 논쟁에서 중요하다고 하는 이성과 상식에서 "상식"은 그 관련집합이 다음중 무엇입니까? (님혼자, 님과 나, 키즈사용자, 한국인,세계인) cella: 뭐든지 가능. darkman: 2. 일기는 한사람이 관련집단이라하는데 그 한사람"만"의(다른 일반인에겐 없는) 관련된 "상식"이 존재합니까? cella: 예(0) 아니오( ) 계약서는 두사람이 관련집단이라하므로 그 두사람"만"의(다른 일반인에겐 없는) 그 계약서와 관련된 "상식"이란게 존재합니까? cella: 예(0) 아니오( ) darkman: 님이 이 두가지에 예라고 답한다면 님의 상식은 저와 다를 뿐더러 사전과도 다릅니다. cella: 님이 퍼온 사전에는 사람들의 수에 대한 언급이 없다니까 자꾸 그러시네. 님도 '개인의 상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습니까? 제가 개인의 상식이라는 건 님의 개인의 상식이라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darkman: 3. 님은 상식과 합리를 젤 중요하게 여긴다고 합니다. 상식을 담고 있는 "권위있는" 근거의 예는 무었입니까? 계속 물었는데도 답변없습니다. cella: 그건 인간 자신이 근거죠. 어디 '문헌적 근거'가 있냐는 것 같은데, 인간이 문헌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라 문헌이 인간을 위해서 존재한다는 당연한 명제가 근거가 됩니다. 님은 이 명제가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시죠? darkman: 4. 2에 예라고 답했다면 한두사람만의 상식이란게 있다는게 "상식"이라는 권위있는 근거을 제시해주십시요. cella: 님이 퍼온 사전의 정의에도 사람의 수에 대한 언급은 없다니까 그러시네. 그리고 광주의 상식이 부산의 상식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게 상식이고. 그게 일치해야 한다는 님의 주장이 독특한 거라니까요. darkman: 5. 어떤 문헌과 관련된 상식이 매순간 변할 확률이 0보다 크다고 가정한다면 님이 상식을 근거로 제시한 순간 그 상식은 이미 상식이 아니게될 확률이 0보다 크죠? 그렇다면 그 "상식"은 근거로서 가치가 없는거 아닌가요? 한번 답해보시죠. cella: 가치가 있죠. 현재의 상식에 가장 가까우니까. darkman: <사실과 주장> 1. 님은 사실은 "사람들이 인정하던 말던 참인 것"이고 주장은 그외라고 합니다. 이정의가 상식이라는 권위있는 근거를 제시해주십시요. 상식이 아니라면 상식과 이성을 젤 중요시한다는 님이 왜 이런 모순된 행동을 하는지? cella: 말했다시피, 주장은 처음에 혼자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제 마음대로 정의를 하고 주장을 할 권리가 있는 거죠. 그 주장에 대한 느낌이 '무의미하다'라면 그 주장은 그냥 묻혀버리는 거고 '의미가 있다'라면 반론자들이 붙어서 반론을 하겠죠. 님이 저의 정의나 주장이 누가 보기에도 말이 안되는 거라고 생각한다면 이렇게 오래 논의를 할 필요가 없죠. 그냥 무시하면 되니까. darkman: 2. 아인슈타인 일반상대론 논문은 발표당시 실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사실을 담고 있는 있다고 님은 주장하는데 이 논문은 "발표당시시점에서"볼 때 사실을 담고 있습니까? 주장을 담고 있습니까? cella: 사실(0 ) 주장 ( ) darkman: 2.1 사실을 담고 있다면 "발표당시"(실험으로 관찰전 ) 시대 사람들이 그 논문내용이 사실인지 아닌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습니까? cella: 이성을 사용해서 차근차근 설명의 단계를 이해함으로써. darkman: 2.2 아인슈타인 논문은 "발표당시" 일반인의 상식에 비교해 더중요합니까? cella: 예(0) 아니오( ) darkman: 2.3 아인슈타인은 논문발표당시 관련집단인 일반국민들과 학계전부와 "합의"하에 논문내용을 작 성했 습니까? cella: 예( ) 아니오( 0) darkman: 2.4 님은 그 문헌의 작성의도(예전글)나 분야(전글)를 보면 그게 사실인지 아닌지 안다는 황당한 주장을 합니다. 그 얘기는 예를 들어 과학자가 논문을 쓰면 그게 다 사실을 담고 있는 문헌이란 뜻입니까? 그게 아니라면 자동으로 사실이 되는 그런 예를 제시해주십시요. cella: 예를 들어 수학자가 수학관련 논문을 쓰고, 그 논문에서 '감사의 글' 등등의, 주제 이외의 부분을 제거한다면, 예(0) 아니오( ) darkman: <문헌에대해> 1. 님이쓰고있는 제글에 대한 답글인 문헌은 사실에 속합니까? 주장에 속합니까? 사실( ) 주장 ( ) cella: 사실과 주장이 섞여 있죠. darkman: 2. 님의 그답글의 관련집단은 누굽니까? (님혼자, 님과 나, 키즈사용자, 한국인,세계인) cella: 저혼자, 혹은 darkman님과 저, 두 가지 경우가 섞여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