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limelite (dorosolo)
날 짜 (Date): 2002년 1월 25일 금요일 오후 12시 51분 56초
제 목(Title): Re: 서양 철학...?


네... 저도 앞글에서 지적하는 걸 깜빡했는데, 현재 정신과에서
사용하는 치료방법은 상담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하는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상담요법에서는 프로이드식 방법론이 최소한 일부
적용되고요. 문제는, 현재 의학이 정신병의 발병 원인이나 치유
방법 등에 대해 명확하게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딱 이거다
싶은 치료 방법이 없는 점이라고 하네요.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그렇다고 해서 현대과학이
인간의 정신작용이 물질적 기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라는 점에
대해 의심을 하거나 여전히 형이상학적인 논거에 기대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여기 철학보드도 일부 있고 카이스트보드에도 있습니다만, 쇼팽
님등이 현대 뇌과학이 밝혀내고 있는 인간 두뇌의 작용에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현대과학이 아직까지 뇌 구조와 작용을 완벽
하게 이해하지는 못했다지만, 여태 밝혀낸 것만으로도 상당히
흥미롭고 유의할 만한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해도
이미 인간 인식 과정에 대해 형이상학적 논거들이 기댈 틈은
없지요. 종교적 신념 등을 이유로 과학적 성과를 억지로 부정하지
않는 이상은요.
그러니, 이제 와서 새삼스럽게 신경생리학 등 과학 발전에 의한
인식론 파괴가 특별히 철학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것이 그렇게 설득력있게 들리지 않는 것입니다.

*********************************************************
*   키즈 = 하나두 안사아칸 라임의 즐거운 놀이터... ^-^  *
*********************************************************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