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limelite (호기심) 날 짜 (Date): 2001년 6월 14일 목요일 오전 03시 28분 40초 제 목(Title): Re: 동문서답이 네... 그럼 제 쪽은 어느 정도 정리가 된 건가요? hoeso 게스트님 그만 괴롭혀야지... ^^ 참... 간단한 질문 하나만... >타인의 존재를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역사적'과정이 필요하다는데는 >동의하지만 AI도 인간과 같은 역사적 경험이 있어야 그런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대단한 개념처럼 보이지만 >AI도 인간과 같은 표상(representation)을 갖고 있으므로 언어로 >표현가능하면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게 인간이 역사적으로 축적해온 지식을 AI 기계도 접하기 때문인가요? 현대에 태어난 아이가 현대적인 인간관을 가지기 위해 과거 역사를 모두 경험할 필요 없이, 현대에 축적된 인간관을 교육받으면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할 수 있느냐는 뜻인데요.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hoeso) 날 짜 (Date): 2001년 6월 13일 수요일 오후 03시 53분 52초 제 목(Title): Re: 동문서답이 >맞는 거 같지만, 그래도 위에 한 질문에 답은 해주세요. >우리가 만드는 건 인간의 의식이 아니라 걸 본뜬 거에 불과하다고. >이거는 철학적 논의입니다. 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의식현상을 뉴런수준에서 규명하고 있는 시점에 (뉴런간 연결 구조 및 연결 강도 맵이 곧 밝혀진다는데 그때 쯤에는 아마 특정 인간의 의식 패턴을 흉내낸 AI도 design할 수 있을 지도.) 인간 의식의 특징중에 AI가 흉내낼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건가요? 타인의 존재를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역사적'과정이 필요하다는데는 동의하지만 AI도 인간과 같은 역사적 경험이 있어야 그런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대단한 개념처럼 보이지만 AI도 인간과 같은 표상(representation)을 갖고 있으므로 언어로 표현가능하면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인간이 만드는 인공지는 기계는 이렇게 스스로 배워갈 >수 없나요? 좀 더 정밀하게 표현하면, 스스로 신뢰할만한 간접 >경험을 축적하고, 그에 기반한 판단 능력을 정교하게 만들 수는 >없냐는 것입니다. 스스로 가설을 세워 학습하고 경험을 축적하는 AI는 사실 오래된 개념이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입니다. 단지,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 이것 저것 검토하고 있고 인식론 논의도 그 일환입니다. 언젠간, 가능하겠죠. ********************************************************* * 키즈 = 하나두 안사아칸 라임의 즐거운 놀이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