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limelite (호기심)
날 짜 (Date): 2001년 6월 11일 월요일 오전 02시 34분 09초
제 목(Title): Re: 사람은 


>다른 사람을 어케 의식적인 존재로 인정할까요?

이거야 말로 튜링 테스트를 통해서 아니겠어요?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그렇게 해석될 수 있는
테스트를 하는지 않는지 의식하지 못하겠지만... 계속
경험해 보니, 이러이러한 외양에 이러이러한 행동을
하는 대상들은 자신과 비슷하게 의식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더라... 이런 식으로...

>좀 더 발전시키면 개인은 존재하지 않고 집단적 의식만 존재할까요?
>개인이란 개념은 생긴지 얼마 안됐죠. 인류의 장구한 역사에 비하면...

다른 사람을 의식적인 존재로 인정하는지 여부에서 왜
집단적 의식만 존재하느냐는 의문으로 연결되는지 이해가
가지 않네요.
또, 개인과 자아와는 어떤 관계지요? 자아에 대한 인식은
제 경험으로는 거의 인간 본연의 것 같습니다. 돌도
안지나고 말도 할 줄 모르는 아기도 자기에 대해서 의식을
하고 있다는 예를 몇 번 들었듯이요.

>그거 생각하니 궁금한 게 (물론 철학적인 질문이 아닙니다), 질적 변화는
>연속적인 걸까요 불연속적인 걸까요? 열역학적 상전이는 연속적 변화의
>불연속적 인식이긴 하지만, 걸 인정하더라도...

변화의 종류에 따라 사람이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다르지
않겠어요? 더군다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더라도 "충분히
연속"(해상도가 높은 모니터에 직선을 그리면 마치
연속된 직선처럼 보이는 것처럼), 혹은 "충분히 불연속"
이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면 더욱 그럴 것이고요.
예를 들어, 현대 컴퓨터 등등에 의한 디지털 혁명은
동시대를 사는 우리에게는 충분히 연속적이지만,
수만년 인류 역사를 놓고 본다면, 충분히 불연속적이다
라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고요.
적어놓고 보니 scale의 문제다라는 것처럼 되었는데,
연속 불연속을 따지는 것이 scale만의 문제인지는 확실히
모르겠지만, scal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은 분명
하다고 생각합니다.


*********************************************************
*   키즈 = 하나두 안사아칸 라임의 즐거운 놀이터... ^-^  *
*********************************************************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