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porori (포로리) 날 짜 (Date): 2000년 10월 8일 일요일 오후 01시 29분 36초 제 목(Title): Re: 현존하는 모계사회 모소족 엥겔스가 설명한 모계 사회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남녀간에 원시 노동 분업(역할)이 분명하면서도 그 세력간의 '실질적인 평등'이 이루어져 있었다는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오히려 여성들이 조금 더 큰 권력을 가졌는데, 수렵 등의 대외 활동으로 식량을 구해오던 남성들의 능력이 영 신통치 않고 그나마 일정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집안이나 집 근처 땅에서 착실히 노하우를 축적해온 여성들에 대한 식량 의존도가 더 컸기 때문이라는군요. 그러다 청동과 철 등의 발견으로 다양한 형태의 농사도구와 강한 무기가 개발되고, 경작 가능한 땅의 면적도 감당할 수 없을 만치 커지는데, 그 과정에서 집중적인 노동력에 대한 요구가 늘고 결국 사람이 사람을 소유/지배 하는 노예 제도에 대한 개념 및 사유 재산 제도가 생깁니다. ( <- 이 부분은 명확한 인과관계가 설명되어 있지 않다는데 주의!) 엥겔스는 청동,철의 발견이 남녀간의 물리적 힘의 차이를 처음으로 '구체화' 하게 된 결정적 계기로 간주하고 사유 재산 제도의 등장을 여성의 남성 의존/종속을 가져온 중요한 이유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즉 물리적 힘에서 다소 앞서던 남성들이 강력한 도구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타인과 힘겨루기를 통한 지배, 약자의 굴복, 개인 소유에 대한 집착 관념 등이 본격화되면서, 가내 노동에만 주력해왔던 여성들과의 세력 균형 역시 완전히 무너지고 '힘의 열세가 구체화'된 여성 또한 다른 노예들과 마찬가지로 소유물로 전락하는 거지요. (엘리슨 재거 등과 같은 페미니즘 이론가들의 표현을 빌면,, 여성의 '세계사적인 패배'의 순간이군요) 노동 분업 과정에서 가내 노동을 담당했던 여성들이 오히려 그런 특성으로 집안에 꼼짝없이 붙들려 지배되고 '사적 소유물'이 되었으니 아버지 입장에선 자기 자식 여부에 대한 확신의 정도가 점점 커지고, 자식의 입장에선 당연히 절대 우위의 힘을 가진 아버지쪽 부와 권력을 상속하려는 경향으로 바뀔 수 밖에 없지요. 엥겔스의 주장은 말 그대로 가설에 불과한데, 인류학자들간에도 아직 합의 되지 않은 부분도 많고, 여러 가지 의문의 여지가 있습니다. 모계 혹은 전계급 사회에서도 여성은 이미 남성에게 종속되어 있었다는 반대 논증도 있는 한편, 원시 노동의 분업이 처음에 남/녀 성별의 기준으로 나뉘었던 이유에 대한 설명도 부족해서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원시 노동의 남녀 분업 상황, 이거 상당히 민감한 사안이거든요..여성학 학자들에게는요. 시몬느 보봐르의 경우엔 사유 재산 제도가 인류에게 어떻게 가능했는지, 그것이 모계 사회의 파괴에 구체적으로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는지 등에 관해 엥겔스가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여 사적 유물론에 근거한 설명의 적절함에 강한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습니다. parsec님이 말씀하신 모쏘족은 이미 특별한 관심 대상으로 꽤 유명한데, 아직까지 모계 사회의 틀을 유지한다는 특성 뿐 아니라 여성이 실질적인 권력을 소유하고 있고 또 남녀간의 노동 분업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니까요. (육체적으로 힘든 일은 남성, 여성은 주로 가사 노동..) 그리고 재미있게도 남성은 결코 사적 재산을 소유할 수 없고 또 소유할려고 하지도 않는다는데 - 아마 이런 부분이 아직까지 모계사회의 특징이 파괴되지 않은 이유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지만 - 오래전부터 전 인류적으로 진행되어왔다고 (믿어왔던) 역사가 그 부족에게만 예외적으로 비껴가게된 동인을 체계적으로 정확하게 설명하긴 어렵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단순히 '제도적인 장치'만을 두고 오랜 시간 동안의 지속성 모두를 확증하기도 힘들고, 반복적인 관찰 경험의 축적으로 일반화를 해봐야 믿을 수 있는 과거 사실 자료의 부족으로 기껏해야 only 가설의 틀안에 현 상황을 비교하여 논리적 정합성을 따져보는 정도일 뿐이니까요. 가능한 여러가지 썰을 나열해서 요모조모 비교해보는데 만족하는 게 좋겠더군요. 저도 나중에 시간이 나면 더 진척된 연구 자료를 찾아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