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june) <idial38-203-231-> 
날 짜 (Date): 2000년 4월 20일 목요일 오후 08시 06분 47초
제 목(Title): Re: [도교] 도덕경 25라는데...질문요



> 법의 원래 글자는, 삼수변에,  엄호가 있고, 안에 개사슴록, 그리고 그 밑에
> 갈거 자가 있는 형태였습니다.
>  
> 옛날,,, 궁궐안에 연못을 만들어 놓고, 그 안에 작은 인공 섬을 만들어 놓고
> 온갖 귀한 짐승들을 다 키우곤 했었는데,,,
>  
> 연못 - 水
> 섬 - 엄호엄
> 짐승 - 鹿
>  
> 그 짐승들은 물때문에 다른 곳으로 도망가지( 去) 못했죠.
>  
> 그 처럼, 사람도 살면서, 벗어나지 말아야할 어떤 경계를 정해놓고,
> 그걸 따르는것이 '법'이라는 글자가 생기게 된 소연 입니다.


갑골문은 물론 물 水와 사슴류 동물 薦, 그리고 갈 去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갑골문 학자들은 法 자의 연원을 "재판을 할 때 원고와
피고를 물가에 세워둔 후, 각자 변론을 하게 하고, 사슴류의 짐승
으로 하여금 아무의 등이나 들이받게 하여 물에 빠진 사람을
죄인, 다른 사람은 무죄로 판결을 하게했다"라는 기록에서 유추
합니다.

제가 설명했던 "물이 가는 길" 이야기는 제 자의적 해석입니다.
노자의 텍스트라는 한계 내에서 그렇게 설명하는게 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지 않을까하여 그런 짓을 했습니다.

혼돈을 불러일으켰다면 죄송합니다.

 
> 중국사람들은, 산스크리스트어의 'dharma'를 '法'으로 번역 했죠. 

맞습니다만, 여기서의 법은 중국인들이 당시 일상적으로 썼던 법의
의미와는 다른 번역이었습니다. 

Iha Sariputra sarva-dharmah sunyata-laksana ...라고 할 때의 
dharmah는 dharma(남성형 명사)의 복수로 "존재"를 의미하고,

.. rupa-sabda-gandha-rasa-sprastavya-dharmah 라고 할 때의 
dharmah는 "개념", objects of mind라는 의미입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