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Hyena (  횡 수)
날 짜 (Date): 2000년 3월 17일 금요일 오전 10시 56분 59초
제 목(Title): Re: [펌] 구조 언어학



구조 언어학의 의의는 단어 의미가 언어 구조 속에 있다는 새로운 발견에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맥락의존성도 전반적인 언어 구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전반적인 언어 구조라는 것이 꼭 언어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가 사용되는 
전반적인 주변 환경까지 포함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언어를 확대한 기호란 개념을 도입한 것이겠죠.
구조 언어학의 발견은 그 이전에 단어의 의미가 그 단어 자체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다는 단순한 개념에 비하면 그 방향에 있어서 코페르니쿠스적인 전환이죠. 

그리고 구조주의는 아직 과학계에서 대체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보이네요.
도리어, 구조주의는 이전 과학의 방법론을 비판하고 있죠.
구조주의가 말하는 과학이란 현재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과학하고는 다른 것입니다.
구조주의를 받아들인 분야는 인류학을 필두로 주로 인문학 쪽이지 자연과학이나 
공학 분야에서는 아직 먼나라 이야기인 듯합니다.
그래서 요즘 번역되어 나온 1997년에 일어난 소칼 논쟁도 그러한 기존 과학계와 
구조주의계열과의 첫 충돌이라고 봅니다. 사실은 그것도 구조주의를 비판한 포스트 
구조주의와의 충돌이지만…

아마도 이 진경씨는 횡설수설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드네요.
구조주의를 주류 과학인 것으로 잘 못 알고 있는 듯하고, 게다가 위에서 문맥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진다는 구조주의의 관점을 자신이 '관계주의'니 하면서 
자신이 직접 소개해놓고서리… 쩝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