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parsec ( 먼 소 류 ) 날 짜 (Date): 2000년 1월 24일 월요일 오전 02시 01분 11초 제 목(Title): 참고: 자전 사이트 첫날 챗방에서도 요청이 들어왔던 사항이지만, 이미 소개드린 바 있는 자전 사이트인 zhongwen.com 에서도 찾을 수 없는 한자가 있어서 추가로 다른 자전 사이트 하나를 소개합니다. http://www.chinalanguage.com/ -> 字典網 ~ [客家話音彙] , 또는 = http://www.chinalanguage.com/Hakka/Tables/index.html 예를 들어 zhongwen.com 에서 Online Readings 라는 타이틀 아래 있는 도덕경(Tao Te Ching) 을 보다가 도경 1장의 "상유욕관기요(교)"에서 "요(교)"자를 클릭하면 This character is not in the dictionary.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from the unicode.org website. Rough definition: frontier, border; inspect,patrol Pronunciation: 1 JIAO4 2 JIAO1 3 JIAO3 4 YAO2 5 YAO1 라는 얄궂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뜻과 음은 나오지만 알아보기 좋은 확대된 글자를 볼 수 없고, 무엇보다도 우리말 음을 알 수가 없습니다. 이 때 위의 Hakka 사이트를 들어가면 왼쪽에 녹색으로 된 링크들이 칼럼으로 배열돼 있습니다. 이 중 두번째 , Hanyu pinyin lookup (한어병음부호 찾기) 을 클릭해서 발음으로 찾기를 합니다. 이 때 우리말 음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서 [] Sino-korean 이라는 옵션을 체크해 주고, zhongwen.com 에서 찾은 음 (jiao4, jiao1, ...중 하나)을 입력상자에 타이프해 줍니다. 그리고 나서 [Search] 를 눌러주면 그 음에 해당되는 글자들이 나오고 한 페이지 안에 안나오는 글자들은 Next page 나 Previous page 로 옮겨가면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말 음은 각 글자에 대한 설명 중에서 [Sino-korean] 이라는 제목이 붙은 칼럼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우리말 음 표기법이 로마자로 된 것이 흠입니다. 그리고 글자를 클릭하면 그 글자의 다양한 방언음이 나열된 것을 볼 수 있고, 그 음도 들어볼 수가 있습니다. 이번 노자 스터디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은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 - What is I? - An imaginary un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