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claudia (* 팅크 *) 날 짜 (Date): 1996년08월26일(월) 03시41분58초 KDT 제 목(Title): Re^2:이대인문계 모의논술시험 저하고 생각이 일치하시는군요... 문제에 있던 문장들을 패러디(?)해서 표현하면, '인간은 이기적 행위에도 사회에서 조화를 이루고 살기 위해 도덕, 윤리, 법 등과 같은 것을 만든다. 이런 것들을 우리는 아담스미스의 생각을 존중한다면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보이지 않는 손" 중의 하나가 도덕, 윤리와 같은 것인데, "보이지 않는 손"이 있다고 도덕, 윤리를 부정한다면 오류이다.' (무슨 오류인지는 모르겠지만... :) ) 중앙일보에서 제시했다는 답은 도덕, 윤리가 사회의 발생 및 발전과 함께 발생, 발전한 것이라는 즉 "역사적 산물"이라는 생각이 없는 답으로 보이네요. 도덕이나 윤리등을 인간 사회 및 역사와 떨어뜨려서 보는 것과 같은 태도를 "관념론적 사고방식"이라고 유물론자들은 비난을 하지요. - limelite 언제나 높은 산만 오르려 했지만 산마루에서 내가 본 것은 늘 낮은 데로만 흐르는 강물이었다 그리고 강물은 흘러서 바다가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