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Moebius ()
날 짜 (Date): 1996년07월09일(화) 12시57분36초 KDT
제 목(Title): 게스트의 r) 차원



골로 뜬지 오래라구요?
물론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수퍼스트링이 꽝이라는것은.
그러나, 꽝이라고 해서 배울게 아무것도 없는것은 아니죠.
흔히 들어지는 예로서, 20세기 초반의 고전 양자론 (플랑크, 아인슈타인, 보어의)
은 꽝인 이론이지만 그것을 통해서 우린 올바른 이론인 양자역학에 
다가가게 된거죠.

요즘 나오는 논문의 1/3이 스트링 논문이라는것을 알기나 하는지 모르겠군요.
왜 각광을 그리 받는지 한번 생각해보고 잘모르겠으면
모르는대로 사세요. 

참고로 덧붙이자면 이게 꽝이라는것은 80년대 후반 이야기였고 
그후 듀얼리티라는 성질에 의해 스트링 이론이 가지고 있던 많은 모순이 
해결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고 때문이죠.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