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limelite (환)
날 짜 (Date): 1996년05월07일(화) 19시30분04초 KST
제 목(Title): [re]re] 윗글...


  글쎄요...저는 조그마한 고양이 새끼가 자기 몸의 두배 되는 개한테
냉정하게 발톱을 휘두르는 것을 봤는데...

  개과 동물도 고양이과 동물에 위협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한마리의 들개가 호랑이와 대적한다는 생각은 하기 힘들군요. 개과 동물이
고양이과 동물에 위협이 되는 경우는 떼거리로 있을 때입니다.(살쾡이 같은
작은 고양이과 동물은 잠깐 고려를 하지 말지요.)
  아프리카에서는 하이에나 떼가 사자에게 위협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강력한 포식자라는 시베리아 호랑이도 승냥이 떼와 맞서는 것은
피한답니다. 그러나, 한 마리의 하이에나가 사자에게, 한마리의 승냥이가
시베리아 호랑이에게 이러는 것이 가능할까요?
  앞의 "[re]윗글"은 사자나 호랑이도 사람이 길들일 수 있으니, 고양이과
동물이 복종심이 낮다는 생각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식의 말과 비슷하게
들리는군요.
  전체 중에 몇가지 특수한 경우가 전체에 대한 판단을 좌우하는 경우도
있겠습니다만, 윗윗글 '고양이가 개보다...'는 일반적인 상황이 좌우하는
경우에 대한 것입니다. 몇몇 특수한 예에도 일반적으로는 사자나 호랑이가
애완 동물이 될 수 없는 것처럼, 개와 고양이와 인간의 관계도 일반성이
규정짖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 환 -

                                                        구름 걷히고
                                                        이제
                                                        맑은 별들이 쏟아진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