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eyedee (아이디) 날 짜 (Date): 1995년07월26일(수) 00시58분32초 KDT 제 목(Title): Reply to ilusion 3 * 본인이 의도는 어떤 proposition이 있을 때 그 것이 참일 개연성, 신뢰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임. 수학이나 기호논리학에서는 어느정도 맞다라는 류의 표현이 있을 수 없겠지만 논의를 확장시키면 본의의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음. 왜냐하면 개연성, 신뢰도가 0 아니면 100%인 경우도 0�턕��100%의 subset으로 보면 되니까. 본인은 수학뿐 아니라 있을 수 있는 모든 명제에 대해 논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하기바람. 수학적 진위 개념을 다른 셰계에 까지 기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필요 없음. "황신혜는 이영자보다 예쁘다" "이영자는 황신혜보다 예쁘다" 라는 두 명제가 있을 경우 이를 절대적 참아니면 거짓으로 분류할 수는 없음. "미국 사람은 한국사람 보다 영어를 잘한다"라는 명제가 있을 경우 이 명제는 100%참은 아니지만 상당한 개연성을 갖고 있음. 위의 반증 사례가 있다해서 위 명제가 완전 거짓말이 되는게 아님. 위 명제가 참일 개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국사람은 일반적으로 한국사람보다 영어를 잘한다"로 바꾸면 됨. 글을 읽을 때는 그사람의 의도에 신경 쓰기 바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