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Though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PhilosophyThought ] in KIDS
글 쓴 이(By): eyedee (아이디)
날 짜 (Date): 1995년04월16일(일) 05시32분30초 KST
제 목(Title): 지식에 대하여 1


1 ------------
   
인간의 삶의 대부분은 외부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에 기초해 
판단하고 행동하는 일로  구성된다.  그렇다면 그 정보와 이에 따른
판단 내용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존재하는지 있다면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런 의문에서 출발하여 객관적 지식의  존재 가능성, (존재한다면)
인식 가능성, 진위의 판별기준 등에 대한 몇 가지 견해를 살펴보고
잠정적인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독단론과 모사설의 오류

지식의 본질에 관한 가장 흔한 상식적 입장은 독단론과 모사설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인식능력에 대한 아무런 비판적 반성없이 인식
가능성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이 독단론이다. 

독단론은 객관적  지식의 존재가능성과 인식가능성의 한계  여부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제시하지 않는 단순한 상식적 입장에 지나지 않아 
진지한 대안이 될 수 없다.  독단론은 독단론이 왜 옳은지에 대해 
설명하지않고 있기 때문이다.   독단론의 문제점은 동일한 인식대상에 
대한 인간의 인식내용이 개인과 시대, 사회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다는 
점을 상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독단론은 주관이 객관 또는 실재를 그대로 모사할 수 있다는
모사설에 근거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모사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받아들이기 힘들다. 우선 인간의 (감각적) 경험은 實在(실재)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다.  경험내용은 주관이 객관과 접촉해서 認知(인지)한 내용
이지 그것이 객관 자체의 속성이라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소금에 손가락을 댈 때와 혀를 댈 때의 느낌이 다르고
우리가 물체의  고유한 속성으로 간주하기 쉬운 색깔이란 실은 물체가
빛의 스펙트럼  중에서 특정부분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지만 실은 물이 투명한 것도 이런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동물은 인지하는  자외선이나 
적외선, 초고음이나 초저음은 실재함에도 우리가  (감각기관)으로
인지할 수 없다.
    
모사설의 또 다른 한계는 인간의  인식내용의 상당 부분이 실제와 
무관한 先驗(선험)적 성격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수학적 지식  등이
그러한 예이다.  완전한 의미에서의 평행선이라든가 정삼각형  같은 
것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수학에서의 점의 개념도 마찬
가지이다.    




....
.....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