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ongJi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AEOLUS) 날 짜 (Date): 1997년09월24일(수) 07시15분46초 ROK 제 목(Title): Internet 5 9. 통신의 기초 이정도는 아셔야 시원하실겁니다! 가. 데이터 통신 ① 통신 선로에 의해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기 및 컴퓨터에 의한 정보 전달을 의미한다. ②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를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및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다. 데이터 통신을 위해 필요한 통신 장치는 다음과 같다. 키보드, 프린터, 컴퓨터, 모뎀, 전화선,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 나. 통신 기본 요소 가장 간단한 형태의 통신 형태는 단말간(Point-to-point) 통신 형태이며 특 정 전송매체에 의해서 직접 연결된 두 개의 통신 기기 사이에 이루어진다. 단말간 통신 형태에서 데이터 통신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 ① 데이터 ② 송신지 ③ 전송매체 ④ 수신지 다. 전송 방식 통신 선로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에는 단방향(simplex),반이중(half duplex), 전이중(full duplex) 방식이 있다. +-------------+-------------------------------------------------------+ | 전송방식 | 설 명 | +-------------+-------------------------------------------------------+ | 단방향 방식 | 라디오와 같이 송신만이 가능한 기기와 수신만 가능한 | | | 기기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송 방식이다. | +-------------+-------------------------------------------------------+ | 반이중 방식 | 무전기와 같이 어느 한 시점에 송신이나 수신 중 한가지 | | | 만이 가능한 전송 방식이다. | +-------------+-------------------------------------------------------+ | 전이중 방식 |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전송 방식이다. | +-------------+-------------------------------------------------------+ 라. 데이터 통신 회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선은 크게 전용 회선과 교환 회선으 로나눌 수 있으며 전용회선은 신호의 종류에 따라 아날로그 회선과 디지털 회선이 있고, 교환 회선은 교환 방법에 따라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방식이 있다. 마. 전용회선 특정 상대방에게만 접속이 가능하다.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은 경우 적합하다. 사용 요금은 통신량에 상관없이 정액제로 부가한다. ① 아날로그 회선 전형적인 전화교환망으로 아날로그 중계 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회선이 구성된다. 전송 속도나 전송 품질 향상이 어렵다. DCE(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로써 모뎀과 같은 변복조기가 필요하다.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을 사용한다. ② 디지털 회선 최근에는 기존의 전화망도 음성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추세이다. 전송 속도와 전송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변복조기는 필요하지 않으나 그대신 송수신 디지털 신호를 전송로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DSU(Digital Service Unit)가 필요하다.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한다. 바. 교환 회선 상대방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다. 폭넓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요금은 통신량을 기준으로 종량제로 부가된다. 사. 데이터 전송 장비 데이터를 통신 선로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 모뎀(Modem, 변복조기), DSU (Digital Service Unit), 다중화기(MUX; multiplexer) 등이 필요하다. 아. 모뎀 컴퓨터나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송회선에서 전 송에적합하도록 변조해 주고 변조된 신호를 수신한 후 복조하여 원래의 디 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일종의 신호 변환기를 말한다. 모뎀의 기본 기능은 변조와 복조로서 변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로 변환하는 작업이며 복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작 업을 말한다. 자. DSU 컴퓨터나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전송회선에서의 전송 에 적합하도록 변조해 주고 변조된 신호를 수신한 후 복조하여 원래의 디 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일종의 신호 변환기이다. 차. 다중화기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신호를 결합한 후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장비이다. 수신측에서는 결합된 신호를 받아 원래의 형태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 한다. 다중화기를 사용함으로써 통신 선로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10. LAN(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가. LAN의 정의 한 건물이나 연구소와 같은 근거리 지역(1~수 km) 내에서 다양한 통신 기 기 간의 상호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고속(수 Kbps~100 Mbps)의 통신 네트워 크를 의미한다. 다수의 독립된 컴퓨터 기기들이 비교적 한정된 영역 내에서 오류 발생률이 낮고 상당히 빠른 속도의 물리적 회선을 통하여 상호 간의 통신이 가능하 다. 나. LAN의 특징 ① 연결성; 다양한 통신 장비와 연결 가능하다. ② 신뢰성; 오류 발생률이 낮다. ③ 확장성; 네트워크의 확장이 용이하다. ④ 통합성; 종합적인 정보처리 능력을 제공한다. 다. LAN의 효과 ① 자원의 공유 정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등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 다. 원격지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모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와 정보의 공유에 중점을 두고 있다. ② 정보 교환 비디오 신호 전달 ; CATV, 영상회의 음성 신호 전달 ; 전자 회의 문서 자료 전달 ③ 통신 기기 간의 통신 성능 개선 ④ 생산성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