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쓴 이(By): phase (강 윤 석) 날 짜 (Date): 1993년02월03일(수) 18시01분09초 KST 제 목(Title): 오디오 구입 가이드 (5) #1961 양재권 (audioman) [가이드 5] 덱크와 스피커의 구입 01/02 02:01 128 line 초보를 위한 오디오 구입 가이드 (5) ## 덱크 ## 덱크는 전세계적으로 일제를 많이 쳐준다. 실제로 오디오 전문가들은 일제를 많이 쓰고 있는데, 나까미치와 티악이 가장 유명하다. 나까미치와 티악의 관계는 카메라에서 니 콘과 캐논의 관계로 생각하면 된다. 절대적으로 치면 나까 미치고, 가격대 성능비를 따지면 티악이라는 얘기다. 덱크 는 사실상 소스플레이어가 아닌 recorder이므로 녹음에 필 요한 기능이 되도록 충분하여야 한다. 고급품은 각 테이프 특성에 따라 바이어스 값을 수동/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 록 되어 있고, 3헤드에 3모터, 오토리버스가 장착되어 있지 만, 보급품은 보통 2헤드 2모터, 오토리버스는 있거나 없거 나 대부분 그렇다. (돌비 노이즈 리덕션은 대개 B,C 모두 있는 편이다) 덱크는 주파수 특성과 신호대 잡음비를 살펴 보면 된다. 필자의 생각으론 오토리버스나 자체 리모콘은 없어도 그만 있어도 그만이라고 생각한다. 또 돌비도 B정도 만 있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용산이나 세운상가등에서 티악 제품을 비교적 싸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아는데, 한 20만원대에서 30만원 선에서 골라봤으면 한다. 되도록이면 더블덱크는 자제하도록 한다. (더블덱크에 추가되는 비용 만큼 싱글에 더 투자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구체적인 모 델명을 제시하면 V3000,V5000,R 616X 등이다. 또 앞으로 덱크도 차세대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에 위협을 받게 된다. 그래서 많이 투자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다. DCC는 기존의 아나로그 테이프의 업버젼이라고 생각하 면 된다. 소박한 덱크를 구입해놓고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시장의 변화를 주시하는 것이 좋겠다. 당장에야, DCC가 유 리하지만 그것도 오래가지는 않으리라고 생각한다. 아나로 그 테이프를 재생시키지 위해 희생된 부분을 생각한다면 결 국 DAT의 등장은 필연적이 아닐지... ## 스피커 ## 보통 오디오전문가들은 스피커에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자할 것을 권장한다. 스피커가 비싸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스피 커는 음의 최종적인 출구이므로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이 다. 어떤 스피커를 사야 잘 샀다는 소문이 자자할까? 이 건 초보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의 고민이기도 하다. 소스플 레이어를 바꿔서 듣는 것보다, 앰프를 바꿔서 듣는 것보다 스피커를 바꿔 듣는 것이 그 차이가 아주 명확할 뿐 아니 라, 스피커는 음질로 평가한다기보다는 음악적(!)으로 평가 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학적인 수치도 사실 크게 중요 하지는 않다. 주파수 대역이 어떻고, 음압레벨이 어떻고 하는 것들은 참고사항일 뿐이다. 우선 유명한 스피커는 무엇이 있을까? 영국제 스피커가 단 연 선두일 것이다. 다음이 미국이다. 스피커분야는 일제 가 세계적으로 어필하고 있지 못한 유일한 부분이기도 한 데, 그만큼 스피커가 어떤 공학적인 기술보다는 음악적인 그런 것이 밑받침되어야 한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우리나 라도 스피커를 꽤 못만들고 있는 편이어서 귀찮아서 시스템 채 오디오 사는 사람이 아니면 단품으로는 거의 팔리고있지 않는 분야이기도 하다. 영국제 스피커는 보통 클래식에, 미국제 스피커는 팝에 잘 어울린다는 얘기를 많이 하곤 하 는데, 대체로 그런 경향이 있다. 영국에는 탄노이,셀레스 쳔,KEF,B&W 등이 있으며, 미국에는 인피니티,JBL,보스가 있 다. 일본에서는 파이오니아와 빅터를 조금 알아주는 편이 다. 그럼 스피커에는 얼마를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어떤 스피 커를 사야할까? 국산 스피커는 정말 안 좋은가? 이런 문제 들이 있을 것이다. 얼마를 투자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100만원은 있어야 뭔가 고를만한 스피커가 나온다고 얘기한다. 필자도 그 정도는 되어야 뭔가 남부럽지 않는 스피커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한 다. 하지만 스피커에 100씩 투자하기가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그럼 그 절반인 50이면 어떨까? 그러면 마 루형으로 사자니 조금 모자르고 북셀프형으로 사자니 조금 남는 가격이 될 것이다. 적어도 50은 투자하라고 권하고 싶다. 이 정도쯤되면 보스 401이나 에어로 082, 탄노이 식 시스 607, 미션 763, 아남 TL 3정도를 생각할 수가 있다. (스피커의 종류는 천차만별이어서 무엇을 권한다는 것이 어 쩌면 우스운 일일지도 모르지만 우선 이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어떤 스피커를 사야할까? 이것은 자신에게 달 렸다.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음악을 들고 가서 제일 만족 스러운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가 있다면 그것을 사라. 무엇 을 더 바라겠는가? 댄스 뮤직을 제일 좋아한다면 그 음악 에 가장 잘 어울리는 소리가 나는 스피커가 최고일것이다. (드럼 소리가 잘 나는....) 헤비메탈을 좋아한다면 가장 헤비하게 소리를 재생시켜주는 스피커를 선택하라. 프로그 레시브를 좋아하면 그 음악을 가장 심오하게 소리를 재생시 켜주는 스피커를 선택하라. 약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모든 소리를, 즉 어떤 종류의 소리라도 잘 재생해주는 스피 커는 이 세상에 단 한대도 없다. 그래서 필자는 예산이 허락한다면 (나중에라도) 스피커를 두조를 쓰길 추천한다. 100만원짜리 스피커 하나보다는 50만원짜리 스피커 2개가 어떨까? 하나는 클래식 전용으로 하나는 팝 전용으로 쓴다 면 더욱 좋을 것이다. 국산은 어떨까?언급했지만 아직까지 썩 마음에 들게 스피 커를 만들고있는 회사는 없다. 어떤 것은 너무 비싸고, 어 떤 것은 너무 소리가 마음에 안든다. 그냥 자신이 들어보 길 바란다. 언급한 것처럼 자신이 좋아하는 소리가 국산스 피커에서 나온다면 더 바랄게 없지 않은가? 몇가지 덧붙이자면, 스피커에는 보통 밀폐형과 베이스 리플 렉스형(개방형)이 있는데, 필자가 느끼기로는 박력은 밀폐 형에 있으나 소리의 시원함은 베이스 리플렉스형에 있다. 스피커를 고를때 그것이 밀폐형인지, 베이스 리플렉스형인 지 알아보라. 그리고 같은 값이면 우퍼는 작은 것이 고급 이라는 말이 있다. 우퍼가 무조건 크다고 좋은 것이 아니 라는 얘기다. 물론 저음이 더 많이 나겠지만 반드시 그런 것도 아니며, 작은 스피커가 더 여유있는 소리를 들려줄때 도 많다. 어쨋든 같은 값일때 우퍼가 작은 것을 고르라는 전문가의 말은 참고할 필요가 있겠다. 그리고 2웨이와 3웨이 어떤 것이 좋을까? 대체로 멀티웨이 를 선호하는 경향들이 있는데, 꼭 뭐가 좋으라는 법은 없 다. 각각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스피커는 되도록 그 소 리를 잘 들어보고 구입하도록한다. 회원중에 자신이 찍어 놓은 스피커를 가진 분이 있다면 그분께 찾아가서라도 소리 를 충분히 들어보아야 한다. 또 스피커에는 8오옴이니, 4옴이니 하는 스피커의 임피던스 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스피커가 갖는 자체 저항으로써 보통의 앰프는 8오옴 스피커를 쓰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상 당수의 스피커들이 4오옴 또는 6오옴의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8오옴을 권장하는 앰프에는 4오옴을 연결해서는 안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런 임피던스가 틀리다고 큰 문제가 있는 것은아니니 크 게 염려하지 말고 다만 참고하기만 바란다. (참고로 말하면 인켈의 앰프는 8오옴을 권장하고 있으나, 시스템 셋팅된 인켈의 스피커들은 대부분 4오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