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쓴 이(By): phase (강 윤 석) 날 짜 (Date): 1993년02월03일(수) 17시58분37초 KST 제 목(Title): 오디오 구입 가이드 (1) #1957 양재권 (audioman) [가이드 1] 초보를 위한 오디오 구입가이드 01/02 01:55 98 line ## 초보를 위한 오디오 구입 가이드 ## 흔히 초보가 저지르는 처음 실수는 구입시에 오디오를 잘 알지 못해 손해 보는 경우이다. 오디오 또한 고가품이므로 처음 선택을 잘 해야하는데, 오디오 초보들은 흔히 오디오 에 대한 지식이 전혀없는 경우 단순한 가전제품처럼 인식, 카타로그만 보고 이것은 어떤 기능이 되느냐만 따지고 시스 템 전체가격만 보고 전부 다 구입하는 실수를 저지르게 된 다. 조금만 더 안다면 즉, 오디오도 호환성이 있다는 것과 단품구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안다면, 좀 더 자기가 원하 는 좋은 오디오를 구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번에 모든 것을 다 사겠다는 욕심을 버리고, 또 디자인에 현혹되지도 말고 오직 자기보다 더 잘 아는 사람들의 조언을 참고하여 자기 스스로 소리를 들어보고 구입하여야 한다. 어떤 사람 들은 앰프는 무엇으로 사고, 튜너는 무엇으로 사고...하는 이런 것들을 마치 자동차에서 타이어는 어디서 사오고, 차 유리는 어디서 사서 붙이는 것처럼 귀찮게 생각하는 사람들 도 없지는 않을것이나, 음악이란 이런 것들과 틀려 자기가 노력한만큼의 소리가 나오게 마련이다. ('음질? 그런 건 안따져..' 한다면 할말은 없지만 말이다.) 외국에서는 실 제로 단품위주로 오디오를 만들뿐만 아니라 선전도 단품위 주로 하고 있어 그만큼 오디오문화가 잘 정착되어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일본의 조잡한 면(?)만 본받아서 오디오문 화를 그릇되게 정착시키고 있다. 이에 감히 펜(?키보드?)을 들어 각종 카타로그공세에 시달리는 오디오초보들을 구제 (?)하려 한다. -예산의 분배가 중요- 오디오는 뮤직센터처럼 각 부분별로 호환이 안되는 것이 있 고, 콤포넌트 시스템처럼 타사의 오디오와도 호환이 되도록 만든 두가지 타입이 있다. 비록 분리형일지라도 외형만 분 리될 뿐 실제 내형에 있어서 뮤직센터나 마찬가지인것들이 유난히 많으니 주의바란다. 대표적인 것으로 삼성 미디콤 포나 롯데의 100만원 미만대 시스템들이 그렇다. 이런 것들 은 앰프에서 15V나 20V씩 나와서 튜너나 덱크등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그리고 연결하는 단자도 타사것과 틀려 (아주 대수술을 하지 않는한) 거의 연결이 불가능하다. 요 즘 선전하는 4단분리 미니콤포도 타사제품과 호환이 되지않 으니 주의바란다. 오디오는 각각의 부분이 전원이 분리되 어 110/220V를 쓸 수 있어야 타사 제품과 호환이 가능하다. 당연히 가격이 상승하겠지만, 반면 이득이 더 많다. 타제 품과 호환이 가능하다는 점이 우선 그렇다. 초보들이 보통 오디오를 얘기할때 5단짜리다, 6단짜리다 얘기를 말하는데, 사실 이렇게 얘기하는 것은 공평치 않다. 무조건 많이 분 리되어 있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오디오는 애초에 에디슨 이 만들때는 (스피커와 턴테이블과 앰프가 붙은) 뮤직센터 급이었지만 차차 고급화,전문화,분업화가 되면서 분리화되 었다. (당연한 얘기일것이다) 그래서 분리된 오디오는 고 급 오디오이다. (하지만 어설프게 분리될바엔 차라리 붙어 있는 뮤직센터가 실속면에서 더 나을지도 모른다) 그렇지 만 오디오가 분리되어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자신이 필요한 한 것만 사서쓰라는 데에 있다. 필자가 가장 주고 싶은 말은 우선 욕심을 버리고, 우선 예산을 정하면, 자기 가 가장 필요한 소스를 정하고 거기에 예산을 바로 분배하 는 일이다. 기본적인 시스템은 앰프와 튜너와 소스 플레이 어 한가지와 스피커로 한다. 소스는 CD냐 LP냐 하는 문제 가 될 것이다. LP가 많아서 굳이 들어야하겠다면 계속 LP 로 밀고 나가도 좋을 것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구입에 그렇게 인색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CD로 처음부터 시작하는 여러가지면에서 좋을 것이다. (인간적인 음색과 진정한 음 악을 즐긴다면 LP쪽이겠지만, 좋은 음질로 음악감상을 하려 면 CD보다 더 비용이 들게 될것이다.- 비싼 카트리지와 비 싼 턴테이블, 그리고 음질 좋은 원판이 필요하다 ) (처음부 터 생각 잘하기 바란다, 어떤 사람은 CDP사라고 협박(?)해 서 CDP도 사게 해놓았더니 CD 비싸다고안사고 LP만 사는 사 람도 봤으니까...) -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 ...오디오가 분리된 이유는 자기가 필요한 것만 사서 쓰라 는데에 있다 혹시 초보중에서 가령 앰프 없이 턴테이블을 바로 스피커에 연결해도 소리가 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 사람이 있 을까? 그렇다면 그 사람은 앰프의 역할을 잘 모르고있거나 오디오시스템의 구성을 잘 모르고 있는 경우일 것이다. 오 디오는 소리의 입구와 증폭부, 그리고 출구로 나뉘어진다. 입구는 음의 신호를 읽어주는 부분, 즉 턴테이블이나 CDP, 카셋트 덱크(녹음부제외)를 지칭한다. 이러한 기기들은 스 피커에 바로 물려도 소리가 들리지 않을 정도로 원래부터 그렇게 만든것이니, 아까 것을 가지고 너무 고민(?)할 필요 는 없다. (각 기기별로 증폭을 해준다면 얼마나 큰 낭비일 까) 이제 앰프가 필요하다. 앰프는 읽은 신호를 받아서 증 폭을 해준다. 스피커를 꽝꽝 울려줄만큼 크게 증폭을 해준 다 (증폭의 원리를 알고싶으면 전자공학관련 책을 보아야 한다). 이것을 스피커에 보내주면 소리는 나온다. 그렇다 면 이제 적어도 소스플레이 한가지와 앰프 그리고 스피커는 적어도 있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것이다. 만약 이렇게 구성 을 한다면 이것은 2단짜리(?)오디오가 될것이다. 오디오 카타로그를 보면 7단까지도 있는데, 그럼 뭐가 그렇게 많은 것일까? 대충 보면 타이머서부터 시작해서 이퀄라이저, 턴 테이블,CDP,튜너,덱크,앰프 등이다. 하지만 이것을 다 살 필요가 있을까? 다 사면 좋겠지만, 정해진 예산내에서 자 기에게 꼭 필요한 부분들에만 모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중 요할 것이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