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Gatsbi (궁금이) 날 짜 (Date): 2004년 2월 23일 월요일 오후 03시 06분 53초 제 목(Title): [p]중국, 반도체산업 기반 경제성장 이끈다 [e글로벌] 중국, 반도체산업 기반 경제성장 이끈다 디지털타임스 2004.02.23 최근 3년 100억달러 투자 19개 공장 운영 저임금 시장 탈피…PC·휴대전화 등 성과 풍부한 자본·인력에 대만 등 주변국 경계 중국이 반도체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중국 곳곳에 최첨단 기술의 상징인 반도체 공장이 잇따라 들어서고 외국투자자들과 반도체 엔지니어들이 몰려들고 있다. 중국 시장을 평가할 때 흔히 사용하는 `기술력은 낮아도 저임금 노동력이 풍부하다'는 수식어는 이제 더 이상 통하지 않을 듯하다. 대표적인 자본집약적 산업인 반도체가 엄청난 내수시장을 토대로 성장일로에 있고 중국 경제를 부흥시킬 주요 분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반도체 산업으로 중국을 첨단기술국으로=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중국이 반도체 산업을 토대로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고 이 시장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투자유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세제 혜택, 정부승인 절차 간소화, 대출 확대 등 매력적인 투자정책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중국 반도체 시장에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을 통해 고가의 외국기술에 대한 의존도에서 벗어나고 또 미국이나 선진국가에 도전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 신식산업부 한 관리는 "우리는 이미 세계에서 대규모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만들고 있고 반도체도 마찬가지로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장세를 타고 있는 반도체 산업은 중국 경제를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 것이다. 지금껏 중국의 경제성장은 저렴한 노동력에 기인했다. 그러나 반도체는 매우 자본집약적인 산업이다. 반도체 제조는 칩 설계와 같이 첨단산업으로 발전하는 토대가 된다. 일본도 반도체 제조를 통해 첨단기술 국가로 자리매김하게 됐고 대만 반도체 업체들은 칩 설계산업의 성장을 이루었다. 지난 3년동안 중국 반도체 벤처기업에 투자된 액수는 100억달러에 이른다. 이는 지난 30년동안 외국투자자와 중국 정부가 투자했던 액수의 3배에 이르는 규모다. 게다가 또 50억달러 투자가 예정돼 있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에 따르면 모두 19개 신규공장이 이미 운영되거나 앞으로 몇 년안에 운영에 들어간다. 중국은 1950년대 이래로 자국의 반도체 산업을 구축하려고 노력했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 가시적인 성과가 드러났다. 1990년대 이후 반도체 수요가 폭증하며 중국내 반도체 판매는 수출용 제품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해 280억달러로 성장했다. 중국 전자시장이 성장하면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났고 반도체를 필수로 하는 컴퓨터, 휴대전화 등 제품들이 늘어나면서 내수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변화된 정책을 선택했다. 2000년 6월에 중국은 외국과 자국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산업계에 폭넓은 유인책을 발표했다. 중국은 투자자들에게 세금을 감면해주고 정부승인 절차를 간소화했으며 저렴한 토지와 은행 대부를 제공했다. 이는 중국의 개혁과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중국에 경계의 눈초리=중국 반도체 산업은 이제 성장단계다. 세계 상위권 시장에 진입하려면 여전히 가야할 길이 멀다. 대다수 분석가들은 중국이 대만보다 10년 이상 뒤처져 있다고 여긴다. 대만은 이미 세계 컴퓨터 메모리 칩의 5분의 1을 제조하고 있고 반도체 설계산업이 발달했다. 또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도 자국의 반도체 산업을 키우고 있다. 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세계 반도체 제조규모 면에서 중국은 지난해 4%를 차지했다. 반면 북아메리카는 18%를 차지한다. 중국은 여전히 공장과 소비자용 반도체로 80%를 수입하고 대부분 기존 반도체 공장은 로엔드 애플리케이션용의 유행 지난 칩을 제조하고 있다. 또 중국 회사들은 지적재산권이나 특허를 보유한 사례가 많지 않다. 심지어 중국 1위 반도체 회사인 SMIC도 첨단기술의 대부분을 외국 협력업체측에 의존한다. 이는 대만과 경쟁에서 큰 어려움을 낳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 정부들은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경계 대상으로 주목한다. 일부에서는 중국의 반도체 정책이 세계무역기구(WTO) 원칙을 위배해 자국중심의 운영을 선호하고 있어 불공정하다는 비난도 내놓고 있다. 이는 중국이 자국에서 생산ㆍ설계된 반도체에 대해 부가세 17%중 14%까지 환급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는 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반도체 시장성장이 풍부한 자본과 인력을 끌어들여 결국에는 미국에 도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산업의 전략적 중요성 측면에서 매우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대만에서도 중국의 반도체 산업발전을 매우 경계한다. 리덩후이 전 대만 총통은 "중국의 반도체가 대만을 겨냥한 미사일에 사용될 수 있다"며 대중국 반도체 투자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에 따라 대만은 2002년 4월까지 자국 회사들이 중국 반도체 칩 산업에 투자하는 것을 금지했고 지금도 제한조치를 두고 있다. 그러나 많은 투자자들과 엔지니어에게 중국의 반도체 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으로 보인다. 신문은 지금도 다수의 반도체 인력들이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정연기자 ^^^^^^^^^^^^^^^^^^^^^^^^^^^^^^^^^^^^^^^^^^^#####^^^^^^^^^^^^^^^^^^^^^^^^^^^^^^ ^ 진리는 단순하고 진실은 소박하다. |.-o| ^ ㄴ[ L ]ㄱ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