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ngulKorean ] in KIDS 글 쓴 이(By): sjyoun (예리큰아빠) 날 짜 (Date): 1998년 10월 9일 금요일 오전 01시 10분 55초 제 목(Title): 한겨레]한글반포 552돌 한글날에/김계곤/한 번호 : 2/7 입력일 : 98/10/08 20:50:29 자료량 :68줄 제목 : [논단] /한글반포 552돌 한글날에/김계곤/한글학회 부회장/ 자료원 : 한 겨 레 나는 가끔 다음 물음을 던져 놓고 생각에 잠길 때가 있다. “우 리말을 자유자재로 적을 수 있는 한글이 없었다고 가정하면 오늘 날의 우리 말글살이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 해답은 사람에 따라 다르겠으나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역대 왕조의 말글살이에서 한 발자국도 벗어나지 못하고 극소수의 계층만 한자를 적기 수단으 로 하는 한문에만 전념하고 있을 것이며, 그밖의 사람들은 모두 까막눈이 되었을 것이다. 아니면 우리말을 적어 보려고 이두식 적 기도 꾀해 보고 글자 구실도 제대로 못하는 일본의 가나글자를 빌 려 썼을지도 모른다. 그와는 반대로 “세종성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한 그 당시부터 오늘날과 같은 말글살이를 했다고 가정하면 어떻게 되었을까?” 나는 이런 생각을 해본다. 우리말을 더욱 넉넉하게 아름답게 그리 고 깨끗하게 가꾸어 왔을 것이다. 그 결과 드높은 고도의 문화와 문명을 누리고 있을 것이다. “말이 오르면 나라가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가 내린다”고 한 주시경님의 말 그대로 우리나라는 외세의 침략도 없는 평화롭고 자유로운 세계 일등국이 되었을 것 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에 나가서 이런 질문을 받는다고 한다. “한국 사람들은 중국말을 쓰느냐 일본말 쓰느냐?”고 묻고 거기 에 이어서 “글자는 한자를 쓰느냐 가나를 쓰느냐?”고 묻는다고 한다. “우리말이 있고 우리말을 적는 한글이 있다”고 답하면 “당신은 당당한 문화민족의 한 사람이다.”라고 자리매김을 하더 라는 것이다. 유네스코 교육문화 부문에서 문맹 퇴치에 공이 큰 나라에 상을 주는데 세종상이라고 이름한 것은 세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나라가 한국이며, 그 혜택은 한글에서 왔고 한글을 만 든 이가 세종성왕이라는 데 연유된 것이다. 근년에 훈민정음을 세 계 문화유산으로 지정한 것도 같은 뜻으로 보인다. 우리나라가 1945년 광복이 됐고 48년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 었다. 정부 수립과 동시에 한글전용법이 법령으로 공포되어 지금 에 이르렀다. 그 사이에 간헐적으로 한자 세대가 묵은 습관을 버 리지 못하고 한자 혼용을 끈덕지게 주장해 왔다. 그러나 글자살이 의 큰 흐름은 한글 전용의 방향으로 도도히 흐르고 있다. 그런데 한자 혼용론자들은 기어코 막아 보겠다고 나선다. 요즈음은 언론 의 힘을 빌려서 한글 전용이 과학 교육을 망치고 나라를 망친다고 극단적인 말을 하고 있다. 우리 말글 정책이나 한자·한문 교육에 있어서 교육부의 교육과 정은 더 손댈 데가 없다고 본다. 현재 그대로 충실을 기하면 된다 . 아이엠에프 한파로 불안한 사회인데 공연히 평지풍파를 일으켜 서 더욱 어지럽게 해서는 안된다. 한자 세대가 항상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것은 한자·한문을 교육하지 말자고 하는 것으로 오인하 고 있는 데 기인된다. 한글 전용을 주장하는 편에서도 한자·한문 교육은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처음부터 내세운 주장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어려운 한자 습득의 부담을 지우지 말자는 것이다. 어른들의 주장이 한창 성장하는 천진난만한 어린 이들에게 큰 짐이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국민의 정부에 바라고 싶은 것은, 지난날 노태우 대통령 재임시 에 한글날을 공휴일에서 배제한 것을 바꿔 국경일로 제정해 주기 를 바란다. 또 한글 전용 법률 50주년을 기념하여 한글 전용 법률 (“대한민국의 공용 문서는 한글로 쓴다. 다만 필요한 경우 얼마 동안 한자를 병용할 수 있다”) 가운데 `다만' 부분을 삭제해 주 기를 바랄 뿐이다. 앞으로 우리들이 할 일은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잘 가꾸어 가도록 하는 데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