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gulKorean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HangulKorean ] in KIDS
글 쓴 이(By): trazom (K.467)
날 짜 (Date): 1994년08월17일(수) 09시53분17초 KDT
제 목(Title): [답][Re] 우리말이나 한글전용을 주장...


기분을 상하게 해서 미안합니다. 한글전용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어서...
 솔직히 저는 한글 전용에 찬성한다든지 반대한다든지 하는 식의
논리보다는 말과 문화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말이라는 것은 단순히 음성을 기호로 나타낸 것이 아니라
그 말을 만든 민족의 문화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
영어가 판치는 것은 미국의 문화가 만연되어 있다는 뜻이죠.
한자어가 많은 것은 최창락님이 거론한 한자문화권의 문화가
우리 생활 깊숙이 박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것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말을 의사
소통의 기호 정도로 생각하면 한글 전용 혹은 국한문 혼용 등의
논쟁이 나오게 됩니다. 불어를 고집하는 프랑스의 경우 그 이유가
불어가 좋아서가 아닙니다. 영국이나 미국의 문화로부터 자국의
문화를 지키겠다는 것이죠. 하지만 그것이 가능할까요. 한 때
유럽대륙을 지배하던 시기에는 불어가 타국의 상류사회를 지배했
었던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미국을 따라가기도
바쁩니다. 불어를 지키기엔 역부족이죠.
 우리말을 지키려면 방법은 단 하나 우리의 문화가 타국의 그것
보다 우월해야 합니다. 이웃 일본의 경우를 보면 이것이 분명해
집니다. 일본의 발전은 미국으로 하여금 일본 문화를 배우게
만들고 일본어의 소리없는 침투를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우리나라는 김치도 영어로는 "기무치"로 발음하게 될 판국
입니다.
 현재 우리가 최강이 아닌 이상 여러가지를 배워야 하고 그에
따라 외국어가 들어오는 것은 당연합니다. 어서 빨리 발전해서
거꾸로 우리말을 수출하도록 해야겠죠.

~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