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uksung ] in KIDS 글 쓴 이(By): arani (별하나 ) 날 짜 (Date): 1998년 7월 17일 금요일 오전 01시 23분 21초 제 목(Title): 수리법 영아원 시절이었다. 나는 어른들과 판이하게 다른 수리법을 쓰고 있었다. 123 어른들은 백이십삼이라고 읽었고, 나는 일이삼이라고 읽었다. 4+5=9 4+5=45 어른들은 사 더하기 오는 구라고 계산했고, 나는 사 더하기 오는 사오라고 계산했다. 45-4=41 45-4=5 어른들은 사십오 빼기 사는 사십일이라고 계산했고, 나는 사오 빼기 사는 오라고 계산했다. 7-3=4 어른들의 계산이었다. 내 수리법으로는 성립되지 않는 뺄셈이었다. 칠 하나만 있는데 삼을 어디서 빼느냐고 물으면 칠 속에 삼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무리 자세히 들여다보아도 칠 속에 들어 있다는 삼이 보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사는 어디에 숨어 있다가 돌연히 나타나서 뻔뻔스러운 모습으로 정답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는지도 의문이었다. 그러나 어른들은 사도 칠 속에 들어 있다는 설명이었다. 나는 칠이라는 숫자가 뱃속에 다른 숫자들을 품고 있다는 사실을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었다. 처녀+총각=처녀총각 처녀총각-총각=처녀 내가 사용하는 수리법을 낱말로 바꾸어 공식화시켜 보면, 그 수학적 합리성이 분명하다는 사실이 절로 드러나 보였다. 어른들은 내 수리적 둔감함에 걱정스러운 표정을 짓곤 했지만, 나는 아무런 불편함도 느낄 수가 없었다. 내 수리법대로 계산해도 손가락이 줄어들거나 발가락이 늘어나는 불상사는 생기지 않았다. 설사를 하거나 두통을 앓는 부작용도 생기지 않았다. 단지 어른들이 내 수리법을 자기들 방식대로 뜯어고치기 위해 성가시게 굴지만 않는다면 생활에 아무런 불편함도 느낄 수가 없었다. 이외수의 황금비늘중 '수리법'에서.... 인상깊게 느꼈던 에메리따가 올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