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icsAni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글 쓴 이(By): simon (jester)
날 짜 (Date): 1993년05월16일(일) 23시47분50초 KST
제 목(Title): 디즈니 만질것(FAQ): 세번째 부분


2) 어디서 {신데렐라, Ladly and the Tramp, 그외 구하기 힘든 비디오들}
   을 복사할 수 있나?

보통, "최고의" 디즈니 애니메이션들은 한정 기간내에만 시장에
나오게 된다. 인어공주의 경우처럼 그 "한정 기간" 이라는 것이 2년동안
8백 5십만 카피를 파는 경우도 있지만, 일단 디즈니가 더 이상 주문을
받지 않기로 결정을 내리고 모든 재고가 팔리면, 그 이후에는 더이상
판매되지 않는다. 비디오를 구하는 방법들은 재고가 남아 있음직한 작고,
외떨어진 비디오 가게를 찾거나, 팔 생각이 있는 사람으로부터 사거나,
중고 비디오 소프트를 파는 곳으로부터 사거나,
일단 비디오 렌탈 가게로부터 빌린 뒤에 돌려주지 않고 그 벌금을 물거나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래전에 발매된 것일수록 좋은 카피를
구하기가 힘들어진다.
더 이상 찍어내지 않는다고 하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피노키오, 잠자는 숲속의 미녀, the Lady and the Tramp, 신데렐라,
환타지아 (점차 구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그래도 구할 수 있는
것 같음...), 피터 팬, 인어공주.
정글 북은 지급 중단.
피노키오는 1993년 3월에 다시 찍어낼 예정. 미녀와 야수는 4월 2일에 
지급 중단. 101 마리의 개들과 the Great Mouse Detective는 몇달 내로
지급 중단될 예정.

디즈니에서 영화들을 재발매할 것인가? 그것은 모두 전망에 
달려 있다. 누군가는 매 7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비디오를 재발매할 
것이라고도 한다; 나는 *공식적* 인 디즈니의 관계자가 "절대로 없다"
고 하는 것을 들었지만, 예전에는 비슷한 경로로 환타지아가 절대로
비디오로 재발매되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것을 들었으며, 그리고 
그것은 현재 비디오와 LD 의 베스트셀러가 되어 있다. 피노키오는 
비디오로 재발매 될 것이지만, 극장 재흥행이 별로 좋지 않았기 때문에
디즈니에선 잠자는 숲속의 미녀의 재발매를 미루고 있다. 어쨌든 모든건
시간이 흘러 봐야 알 일이다.

3) 어디에서 디즈니 관련 GIF(JPEG, 등등)화일을 구할 수 있나?

디즈니에서는 관련 이미지 화일들을 공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두는 것을 저작권에 위배되는 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 목적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합법적이다.
많은 GIF 화일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지만, 공식적으로 그것들을 구하는
방법은 없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쓰는 다음과 같은 방법은 있다:

인터넷 FTP - 디즈니 화일이 있는 "공식적" 사이트는 없다. 많은 GIF 사이트들이
그들의 콜렉션 중에 몇개의 화일을 갖고 있다.
          tezuka.rest.ri.cmu.edu (128.2.209.227) 에는 'Disney Afternoon
(역자 주: 저... 이게 뭐죠?)'에 관련된 몇개의 화일이 있다.
          garfield.catt.ncsu.edu (152.1.43.23; GIF, 디즈니 관련 텍스트
화일들이 있음) 은 디즈니 화일들을 구할 수 있는 좋은 예이다. 
          atbmac1.larc.nasa.gov (128.155.18.23) 의 pub/graphics 에도 
몇개의 화일이 있다. 필립 모리스(Phillip Morris,
p.e.morris@larc.nasa.gov) 에게 감사드린다.
          wuarchive.wustl.edu (128.252.135.4) 에도 몇개의 화일이 있다...
좀 뒤지느라고 고생해야 하긴 하지만.
그외에 여러분이 아는 곳이 있다면 내게 그 사이트의 이름
(그리고 IP 어드레스... 가능하다면)을 알려주기 바란다. 그러면
내가 그것들을 이 리스트에 포함시키겠다.

alt.binaries.pictures - 이 뉴스그룹에는 uuencode 된 GIF 화일들이 있다. 
이 그룹을 통해 디즈니 이미지들을 교환할때의 가장 큰 문제는
모든 뉴스 서버가 이 그룹을 지원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역자 주: 실제로, worak.kaist.ac.kr 은 이 그룹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다. kum.kaist.ac.kr 은 어떤지 모르겠다. )

컴퓨서브 - 컴퓨서브는 디즈니 GIF 를 포함하는 몇개의 그래픽스 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FLORIDA 포럼인데, 2개의 디즈니 관련 섹션이 있다.
Graphics File finder(go GRAPHFF)를 써서 나머지를 찾아보도록 하라.
컴퓨서브의 연결 시간당 비용은 2400 보오에서 시간당 8달러,
9600 보오에서 시간당 16달러이다. 컴퓨서브에 있는 화일들을
다운받을 수 있으려면 각 화일들이 월트 디즈니사의 승인을 받은
것이어야 한다.
GAMBPUB 에는 디즈니 소프트웨어에 관한 섹션이 있다. 그 모음들 중에는
그림들과 소프트웨어 데모들이 있다.

아메리카 온라인 - 디즈니의 대변인과 접촉한 뒤에, 아메리카 온라인은
3월 4일을 기해 모든 디즈니 GIF 들을 제거했다.

The Disney BBS - 디즈니에 의해 운영되는 디즈니 소프트웨어 관련 BBS 이다.
번호는 (818)-567-4027 이다. 이곳에는 몇개의 이미지들과 애니메이션
들이 있다.

/* 저는 컴퓨서브를 사용할 수 없읍니다... 또한 사용할 마음도 없구요.
(에또... 사용할 '돈이 없다'는게 정확하겠죠? :) 그러니 이 부분에
대해선 누구 아는 분이 절대적으로 필요... 
(정말 무능한 번역자로군... 왜 이 일을 시작했지?!)
*/

4) What are serigraph cels?  Are they "real" cels?

5) What art galleries sell Disney cels?

/* 미국에서는 디즈니에 관련된 셀 - 애니메이션 제작시에
사용되는 필름 비슷한(?...) 것 - 을 판매하기도 한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구할 수 없고 ('거의' 가 아님!) 또 구하려는 분들이
있을지도 의심스럽기 때문에 이 질문들을 제거했읍니다. 그러나
이런 게 있다는 정도만 알아두시기 바라며, 더 이상을 알고싶은
분들이 많이 있다면 - 10명 이상?? - 이 부분도 번역을 할까
싶습니다... 다른 분이 해주시면 더 좋겠지만.
*/

6) 오늘날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어느 정도까지 컴퓨터들이 사용되고 있나?

이 이슈에 관해서는 많은 혼란이 있는것 같은데, 그 이유중의 하나는
디즈니에서 그들의 제작과정에 대해 최소한 어느정도는 비밀주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리스트에 Computer Graphics World 지와 몇가지의
책들을 포함한 많은 방면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게재한다. 현재까지는,
CAPS 가 가장 미스테리한 부분이다; 이미 그것은 그 혁신적 능력으로 인해
상을 받은 적도 있으나, 디즈니를 제외한 아무도 그것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지 않으며, 디즈니는 그것에 대한 언급을 않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에 의한 렌더링 작업은 디즈니의 컴퓨터 제네레이티드
이미저리(Computer Gernerated Imagery:CGI, Glendale, CA) 에 있는
아티스트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곳에는 14명의 애니메이터들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있다. 이들은 미녀와 야수의 제작에 관여했으며, 그 영화의
자막에 나온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컴퓨터는 여러가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 중 한가지는 "셀"(따옴표를 쓴것은, 아직도 제작전의 셀들을 약간 쓰기는
하지만, 마지막 제작시의 것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곧 언급할 것이다)
의 색칠이다. 또 하나의 목적은 배경의 제작이다. 세번째의 목적은 몇가지
특별한 물체들을 애니메이션시키는 것이다. 네번째의 목적은 간단한 모델링
이다. 물론, 다른 목적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등장인물들의 색칠과 조합에 컴퓨터를 도입한 것은 가장 주목할 만한
사용인데, 이것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과거에는,
애니메이터들이 셀 위에 그림을 그리고, 다음 사람이 그 위에 조심스럽게
수작업으로 색칠을 했다. 보통, 시간적으로 연속된 셀들은 같은 색으로
색칠되도록 배려된다(즉, 필름 제작과정과 또 다른 종류의 '디즈니 마술'을
거치는 과정에서 한 인물의 색깔이 다른 셀의 그 인물 색깔과 같을리는 없지만,
어떤 프레임과 그 다음 프레임의 캐릭터는 매우 비슷해 보이도록 된다). 이것은
많은 양의 반복작업을 의미한다.
한편, 잠자는 숲속의 미녀 이후로, 디즈니 애니메이터들은 각 프레임의
원화를 종이 위에 그리고, 그 그림을 건식 복사기를 사용해서 셀 위로 복사했다.
그리고 각 셀은 각각 색칠되었다. 이 경우에는 색칠이 셀의 뒷면에 - 앞면이 
아니다 - 색칠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하라.
현대의 컴퓨터 그래픽스에 의해, 이런 과정이 생략되고, 작업의 속력을
엄청나게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새 시스템의 이름은 CAPS(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System)이다. 애니메이터의 원화는 곧장 컴퓨터로
옮겨지고, 컴퓨터는 각 칼라 모델에 의해 색칠을
한다. 이것은 자동화된 과정은 아니지만, 컴퓨터 아티스트에 의해 주어진
색을 칠하는 것은 셀 묶음 위에 손으로 색칠하는 것보다는 훨씬 빠르다.
인어공주의 라스트 신(에이리얼과 에릭이 키스하는)은 이 방법으로
색칠되었다. 지구 반대편으로부터의 구조자들과, 미녀와 야수의 대부분의
(전부일수도 있지만) 신들도 이렇게 작업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셀 색칠이
사라졌다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는 색깔 모델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약간의 마지막 끝내기 작업은 손으로 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끝내기 작업이
컴퓨터 위에서 되기는 하지만).
그 외의 장점들도 있다. 컴퓨터로 그림들을 효율적으로 디지타이즈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림들은 마음대로 조작되고 합쳐질 수 있다. 미녀와
야수의 오프닝에서 카메라가 폭포와 숲을 지나는 그 인상적인 3D 효과
(멀티플레인 효과:multiplane effect)의 장면은 CAPS의 장점을 활용한
것이다. 과거에는, 멀티플레인 작업이 가장 고되고 힘든 작업이었다.
예를 들어, 환타지아의 "Ave Maria" 시퀀스의 마지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앞뒤로 움직이는 카메라용 크레인을 준비해서, 여러장의 세워놓은 유리판에
마련된, 숲과, 각종 장면을 그린 셀들을 "통과해서" 카메라가 움직이도록 
해서 촛점에서 지나간 유리는 제거하고 계속 카메라를 앞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노동을 해야 했었다.
(역자 주: 환타지아 masterpiece 레이저 디스크 - 빨간 색이 아닌 파란 박스 - 
 에는 'making of masterpiece' 라는 보너스 트랙이 있는데, 거기에 1940년에
 환타지아를 만들었던 애니메이터가 나와서 그때의 고생을 이야기하는
 부분이 있음. 그 시퀀스가, 그 때까지... 아마 이후에도 가장 긴, no cut
 scene 이라고 한다.)
그 이후로도 멀티플레인 기술은 계속 발전했지만, 그 중의 어느것도
간단히 컴퓨터를 사용해서 가상 3차원 공간에서 이미지를 움직이고 흐리게
하는 것만큼 간단한것은 없다. CAPS 의 다른 장점들은: "촛점에서 벗어난"
이미지를 흐리게 하는 것, 색깔의 블렌딩 (예를 들자면, 벨의 뺨에 있는
홍조), 임의로 인물에게 그림자를 지게 하는 것 (예를 들어, 벨과 야수가
무도회장에서 춤출때...), 다른 크기의 그림들을 부드럽게 조합하는 것
(즉, 그림을 어떤 크기로든 그릴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크게, 작게 만들
수 있다) 등이 있다.
다른 여러가지 잇점으로는, 좀 더 넓은 범위의 색깔을 쓸 수 있
다는 점을 들 수 있고 (당신이 맥이나 PC 위의 24bit 컬러 환경위에서
작업해 보았다면, 이것이 무슨 뜻인지 알 것이다 - 당신은 단순히 물감을
섞는것으로는 꿈도 꿀 수 없는 16.7M 가지의 색깔을 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또 인물들의 가장자리 선을 색칠해서 없애는 것을 들 수 있다.
잠자는 숲속의 미녀 이후에 인물들의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굵고 검은 선을
주의해서 보라: 건식 복사기를 사용하는 새로운 과정이 이런 결과를
가져왔다. 월트 디즈니는 이것을 싫어했지만, 생산 기간을 줄이는 데에는
복사 과정이 도움이 되었다. 이후에, 스튜디오에서는 토너의 종류를 여러가지로
실험해서 그 굵기를 줄이는데 성공할 수 있었지만, CAPS 이전에는 없애는
것은 불가능했다.
컴퓨터의 또다른 중요한 사용은 배경의 제작이다. 99% 의 배경들이
손으로 그려지고 색칠되지만(이렇게 생성된 배경들은 CAPS로 옮겨진다), 
몇가지 중요한 예외가 있다. (배경의 경우에는, 컴퓨터로 칠하는 것이 
숙련된 손으로 칠하는 것보다 하등 나을 것이 없으며, 똑같은 배경들이
계속 사용되기 때문에 그다지 중복작업도 없다. 예를 들어, 미녀와 야수에서는
1300 장의 배경을 14명의 아티스트가 작업했다.) 현재까지의 가장 중요한
사용예는 아마도 미녀와 야수의 무도회장일 것이다.
빙빙 도는 무도회장은 SGI(역자 주: 실리콘 그래픽스)워크스테이션 위에서
Wavefront Technology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제작되었고, Alias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3차원으로 모델링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Renderman 소프트웨어로
프레임마다 렌더링되었다(아마도 어떤 식의 분산처리를 이용해서).
애니메이터가 그린 벨과 야수의 그림이 CAPS를 이용해서 마지막으로 그
배경과 합쳐졌다. 추가적으로, 컴퓨터로 렌더링된 탁자가 "Be our guest"
시퀀스에서 사용되었다(Mrs. Potts 가 찻잔에 둘러싸여 노래부르는). 에릭이
바네사(마녀의 변신)와 함께 있는 것을 에이리얼이 처음 보기 직전에
뛰어내려오는 계단도 컴퓨터로 생성된 것이다(역자 주: 다른 예와 달리,
이 신은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많은 역자의 친지들이 믿지 못했다).
또 다른 컴퓨터의 사용은 특별한 종류의 3차원 효과를 위한 것이다.
모델링과 렌더링 과정은 미녀와 야수에서의 무도회장과 비슷하다. 몇가지의
예를 들자면: the Great Mouse Detective의 클라이맥스의 추적신에서 나오는
기어, 인어공주의 carriage(역자 주: 이게 뭘 의미하는 걸까요? 제 생각에는
결혼식용 보트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만...?), 지구 반대편으로부터의
구조자들에 나오는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미녀와 야수의 "Be Our Guest"
시퀀스에서 케이크 샹들리에 위에서 춤추는 포크들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가 약간 사용되는 예로는, 간단한 모델링이 있다.
예를 들자면, 인어공주의 시작에서 나오는 배는 컴퓨터로 와이어프레임
모델링되었지만, 손으로 다시 그려졌다. 나는 디즈니 아티스트들이 그 외의
방법들을 찾아냈을거라고 생각하는데, 목각 모델로서 여러가지 물체(특히
인물들)를 미리 시각화 해 보는 것을 대체해서 사용할 수도 있을것이다.
(그 외에, 다른 방법을 알려주면 좋겠다. 사실, 만약에 이 글을
읽는 디즈니 아티스트가 있어서 무언가를 덧붙이고 싶다면... :-) )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