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n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Christian ] in KIDS
글 쓴 이(By): jhan (한바다 )
날 짜 (Date): 1994년11월03일(목) 12시11분26초 KST
제 목(Title): Re:진화론자의 입장에서


올리신 글 잘 읽었습니다.  특히, 토마스 쿤의 이론에 대한 백그라운드.
진화론자의 입장에서 주로 윤석찬님의 글을 반박하셨는데... 전 사실 진화론자의
입장에서 얘기하는 <진화론>을 은근히 기대했지요. 

윤석찬님의 요지는 주문 점성술, 어중이 떠중이 전부 다 과학이다 라는 것이 아니라
<과학>이 갖는 패러다임이라는 틀속에서의 한계성, 즉 과학이 보지하는 보편성(혹은 
절대성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결국은 역사적 상대성 속으로 환원될 수 밖에 없는 
것이 아니냐 뭐 이런 흐름이라고 생각되는데.  이 문젠 골수 과학자의 할아버지도 
인정하는 것 아닙니까?  

제시하신 질문들은 제 소견으론 질문 아닌 질문 (pseudo-question)이란 느낌이
드는 걸 감출 수 없군요.  왜냐하면 그 질문들 자체가 이미 대답들을 내함하고 있
기 때문입니다.  지구물리님 스스로도 <대답을 기대하지 않는다고>한 질문들을 
던진건 문제가 있습니다.  생산적이질 않거든요, 이런 <대화>의 장에선.
<서양철학사>에서 버트란트 러셀이 이런 얘길해요:
     대상을 이해, 비판하기 위해선 먼저 그에 대한 <애정>을 갖고 시작해야한다. 
고 말입니다.  어떤 분은 <창조, 신화의 논쟁>의 허무함을 논했는데 전 우리가 
<논쟁> 아닌 <대화>로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의 하납니다.  

예, 물론 이 자리에서 저희가 <정답>을 얻으리라고는 꿈도 꾸지않지요.  하지만
그것이 커다랗게건 쪼끄맣게건 <대화>를 할 수 있는 <보편적> 구석은 있지않을까요? 
사실 기독교인이 생각하는 <진화론>과 진화론자가 생각하는 <진화론>이 틀릴 수도 
있거든요.  지금까지의 많지않은 글들에서조차 개념이 틀리다 란 느낌이 들 
정도니까요.  불쑥 나와 이런 얘길해서 좀 뭐하지만, 건강한 <대화>를 바랍니다.
조금씩 천천히 자기입장의 한계도 인정하면서.  그것이 신이란 
<괴물>이건 과학이란 <괴물>이건 간에.

           
--------------------------------------------
 혹시라도 어쩌다가 아픔같은 것이 저며올 때는 
 그럴 땐 바다를 생각해 바다 ...              
----- 김민기의 <봉우리> 중에서 ----------- J           jhan@ucsd.edu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