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ristian ] in KIDS 글 쓴 이(By): scyun (윤 석 찬 ) 날 짜 (Date): 1994년10월31일(월) 23시19분49초 KST 제 목(Title): 창조론자의 입장에서 3 창조과학은 과학인가? 여러분들이 사용하는 과학이라는 용어와 창조과학자들의 과학의 용어는 다릅니다. 여러분은 어디서 왔고 우주는 어떻게 생겼습니까? 대답은 모릅니다이죠.. 과학도 모른다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것은 그것을 우리가 경험하고 실험할 수 없는 것들이라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그걸 소위 기원과학Origin science)라고 합니다. 창조론이건 진화론이건 윤회적인 세계관이던 기존의 과학데이타를 가져다가 논리적으로 검증해보자는 그런 류의 과학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아칸소 주법정에서는 진화과학과 창조과학이라는 영어를 썼는데, 바로 그것이 창조과학이라는 용어의 시작이죠. 그것은 정상적인 과학과 다른 것입니다.. 하하 모 슈도과학이라고도 할 수 있죠.. 그러나 진화론적인 과학도 역시 슈도과학일겁니다.. 과학은 넘 불완전해서 도대체 과학이라는 -그러니까 엄밀하고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이름을 붙일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공대분이시라면 계산이 똑떨어지는 것이 과학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요.. 창조과학을 하시는 분은 스스로 창조론적 신념과 과학자적양심에 따라 과학활동을 하겠다고 하시는 분등이며 은연중에 과학자교육시스템에 물든 정통과학도는 무신론적이고 진화론적인 신념을 가진 분들이죠.. 근데 문제는 이들이 싸우면 안된다는 겁니다.. 보다 나은 이론을 도출하기 위해 서로 협조하고 노력해야죠.. 실제로 러시아의 거의 많은 과학자들이 진화론자들인데 또 한 창조론그룹하고 연계가 잘 돼있다고 합니다. 창조과학자라고 해서 열역학제2법칙을 안믿고 상대성이론을 부정합니까? 지층누중을 � 인정하지 않나요? 단지 세계를 보는 관점의 차이가 그것을 만드는 것이며 이것은 자로 재서 짤라낼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닙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창조과학이라는 용어가 마음에 썩 들지는 않지만 그래도 없는 것보담 낫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창조론자들이 이것을 죽으라고 설명해도 안들으려는 사람이 넘 많아서 자꾸 이런 말이 나오는가 봅니다. 저는 KACR회원으로서 창조론적인 과학활동이 매우 사고의 폭을 넓혀주고 사회윤리적으로도 유익한 것이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예를 든다면 1870년대의 허튼의 균일설내지 동일 과정설은 1990년대 에는 없어졌습니다.. 그것은 지질학의 근본이 아니고 큰 카데고리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지질현상은 격변적입니다. 우리가 다시 과거로 되돌아가고 있습니까? ================================================================ This is SEOK-CHAN YUN joined Paleontology Lab of GEOLOGY Dept. in P U S A N N A T I O N A L U N I V E R S I T Y (e-mail)scyun@hyowon.cc.pusan.ac.kr (LAB)051-510-22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