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Davin (다빈)
날 짜 (Date): 2006년 7월 10일 월요일 오전 01시 32분 12초
제 목(Title): 불교에 확정적 주장이 없단 것에 대해 


불교에 확정적 주장이 없다는 것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불교의 기본 교리는 삼법인, 사성제, 팔정도 입니다.

세가지 중요한 진리의 도장을 찍었다는 의미인데 

첫째, 제행무상 
둘째, 제법무아
세째, 열반적정 

입니다.  풀어서 쓰면 

이 세상에 고정된 것이 없다는 것을 알고 
내 속에 나 라고 할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달으면
평화와 행복이 온다는 것

입니다. 

두번째의  사성제란, 
네가지의 부처님이 가르치신 성스러운 진리 라는 뜻입니다.

고 집 멸 도 의 네가지 입니다.

사람에게 닥치는 고통에 대한 네가지인데 

그것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해서 나타나며
그것이 어떻게 해서 사라지게 되며
그것을 없애는 구체적 방법에 대한 진리입니다.

구글 검색에서 Four Noble Truth 를 검색해 보시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The Four Noble Truths

1. Life means suffering.

2. The origin of suffering is attachment.

3.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attainable.

4. The path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그리고 팔정도란 위의 삼법인, 사정제를 깨우치기 위한 여덟가지 하여야할 
수행방법입니다.

그 수행방법은 각각 고통 ( Dukka ) 을 가져오는 세가지 독소 , 

탐: 욕심
진: 화냄
치: 어리석음

를 없애는 것이지요. 세가지 독소 , 즉  삼독에 각각 세가지 학을 
연결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삼학이란  

계: 윤리 지키기
정: 마음 가라 앉히기
혜: 지혜 배우기 

입니다. 각각 탐진치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탐은 계율로 다스리고 
진은 정으로 다스리고 
치는 혜로 다스리도록 배우는 것입니다.

불교에  구체적 교리가 없다니요.
아주 자세하고 세밀하게 다 있습니다.

모든 인간의  Dukka 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잘 가르쳐 놓았습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