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Enlight (D.S.)
날 짜 (Date): 2001년 5월 30일 수요일 오후 01시 01분 50초
제 목(Title): 소승불교에 관하여


소승불교라는 말은 인도에서 대승불교 운동이 흥기할 때 처음 등장한다. 당시 
대승불교도들은 그 이전의 불교, 즉 부파불교의 실천법을 경멸하여 그렇게 
이름을 붙였던 것이다. 소승불교에는 원래 성문승과 연각승의 2 승이 있었다. 
성문승은 사제의 이치를 관하고 아라한의 사과를 증득하여 열반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고, 연각승은 12인연을 관하여 벽지불에 도달하고자 했는데, 
이 양자는 모두 스스로의 깨달음만 추구할 뿐 남들을 위해 설법하거나 교화하는 
것은 그 목적으로 삼지 않았다.  대승불교도들이 비난했던 부파불교는 북방에 
전해진 이야기에 따르면, 불멸후 100여넌 경에 마가다국의 마하제바가 5개조의 
새로운 주장을 하자 불교도들 사이에 갈등이 생겼고, 결국 마하제바에 동조하는 
자유주의자들은 대중부, 그리고 그에 반대하는 보수주의자들은 상좌부를 
이루었다고 한다. 이것을 일러 불교의 근본분열이라고 한다. 나중에 대중부는 
9개의 분파로 갈렸고, 상좌부는 11개의 분파로 나뉘어졌다.
  남방에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불멸 후 200여 년경에 비야리의 발기 
비구가 새로운 10조목을 주장하며 종래에 지키던 계율의 개혁을 요구하자 
야사 장로가 학승을 소집하여 그 주장을 심의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때 
자유관용파라고 할 수 있는 대중부는 발기 비구의 의견에 동조하고, 엄숙
파였던 상좌부는 이를 부정했다. 그 후 대중부는 6파, 상좌부는 12파로 나
뉘어 결국은 18부파가 성립되게 되었다.
  우리가 소승불교라고 말하는 것은 곧 부파불교로, 소승삼장은 이 부파
불교의 삼장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어쨌든 이름 그대로의 뜻으로 보
면 소승은 작은 수레를 의미하고, 대승은 큰 수레를 가리킨다. 즉, 불교도
의 이상향인 피안으로 건너갈 때 스승에 의거하면 일신 혹은 수행자 등 
소수의 사람만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반면, 커다란 수레인 대
승의 보살도를 실펀할 때는 말 그대로 커다란 수레에 수많은 사람이 한꺼
번에 피안으로 건너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스승불교라는 말은 대승
불교도들이 만들어 낸 것으로, 현대의 남방불교 국가, 곧 우리가 소승불교 
국가라고 부르기도하는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의 불교
도들은 소승불교라는 호칭을 매우 싫어한다. 그들은 스스로를 '테라바단
(Theravadin)'이라고 부르는데, 이말은 '테라바다(상좌부를 의미함)'를 믿
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들 테라바딘, 즉 남방불교도들은 자신들이야말
고 초기불교의 정통성을 순수하게 지켜왔다는 자부심이 무척 강해서, 우
리나라처럼 북방불교, 즉 대승불교를 신봉하는 국가들의 불교를 변질된 
불교로 생각하고 있을 정도다.
 


         
--------------------------------------  Show me your smile -------------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