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chyoo (문사수) 날 짜 (Date): 1994년06월16일(목) 21시51분26초 KDT 제 목(Title): 불교란 무엇인가?(7:생명의 교류) 7. 생명의 교류 (6:생명이란)에서 우리는 우리가 나라고 주장하고 있는 그 개별 생명체의 실상을 알아 보았습니다. 비록 외형은 개별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 제의 모습은 무한과 절대로 설명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생명체로서의 나는 무엇때문에 남과 구별되는 모습으 로 나타나는 것인가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무한과 절대의 생명이 모습을 나타낸다면 똑 같은 모습으로도 나타날 수가 있을 것 같은데 평등하 기 못하게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에 어떤 차별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별성이 생기는 이유는 인연(因緣)과 업(業)에 따른 것이라고 불 교에서는 말합니다. 이 인연과 업이 절대 생명을 끊임없이 살아 움직이게 하는 동력원인 것입니다. 절대 생명은 인연과 업이라는 생명의 교류 현상에 의하여 그 결과로 개별 생명체의 모습을 띠게 되고 개별 생명체에 의하여 새로운 인연과 업을 만드는 끝없는 운동을 하는 겁니다. 이것을 불교에서는 인과법(因果法)이라고 합니다. 불교에서 인정하고 있 는 것은 오직 이 인과의 법칙뿐입니다. 그런데 이 인과법을 숙명론이나 운 명론으로 잘 못 알고 있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것은 인과의 대상을 특정한 생명으로만 한계 지어 생각하고 타고나는 업을 부여하는 어떤 존재가 있다 고 생각하는 오류에서 발생되는 겁니다. 인과법에서는 "내가 짓고 내가 받 는다."라고 간단하게 말합니다. 현재의 모습은 과거의 나의 행위의 결과인 것이고 미래의 나의 모습은 현재의 나의 행위에 의하여 결정이 됩니다. 여 기에 숙명이나 운명같은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 차별한 개 별 생명체의 모습은 차별이 아니라 평등인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집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내가 짓고 내 가 받는다고 할 때의 그 나라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분명 앞에서 나라는 개별 생명체의 실상이 무한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 생 명이 입은 옷에 불과하다는 것을 말한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인과는 개별 생명체가 원인을 만들고 그 결과를 받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은 절대 무한의 생명이 개별 생명체의 모습을 통하여 짓고 받는 것이라고 표현해야 앞뒤가 맞을 수 있습니다. 그것이 개별성에 중심을 둘 때는 생명 의 교류라 할 수 있지만 무한성과 절대성에 입장을 두면 생명 그 자체인 것 입니다. 다음에는 이러한 인과법에 근거하여 윤회(綸廻)에 대하여 알 아 보겠습니 다. ---------------------------- 聞思修法友會 ------------------------ 상기 내용과 관련되어 보다 알고 싶은 분이나 불교 수행을 함께 하실 분은 전자우편을 이용하거나 다음으로 문의하시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경기 지역 0344-966-2544,2548(원당) 문사수법우회(최용해) 대전 충남 지역 042-861-5858 문사수법우회(유찬형) 전남 광주 지역 0684-81-0108(담양) 문사수법우회(명성스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