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chyoo (문사수)
날 짜 (Date): 1994년06월16일(목) 21시45분24초 KDT
제 목(Title): 불교란 무엇인가?를 시작하며


  불교란 무엇인가?를 시작하면서

  불교라는 종교가 한반도에 전래된지 1600여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불교
의 가르침은 알게 모르게 우리의 잠재의식과 문화속에 스며들었습니다.  그
러나 지금 불교는 본질은 희미해지고, 학문적인 모습, 전통적인 문화재, 신
비주의적인 형태, 미신적인 신앙형태등의 외면적인 모습에 의하여 오염되었
습니다.
  그런중에 불교의 가르침은 지금 서구에서 오히려 더욱 빛을 바라고  있습
니다. 서양의 문화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던 기독교가 서구에서는  문화재로 
전락하고 동양의 불교가 서구의 정신계를 차지하고 있는 이 때에 거꾸로 동
양은 원래 갖고 있던 무한한 보배를 버리고 서양의 정신적인 찌꺼기를 무분
별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현재 서구 경영학에서 등장하고 있는 Reengineering과 물리학에서 등장하
고 있는 Chaos 이론등은 지금까지 서구문명을 유지해왔던 데카르트와  뉴톤
적인 사고 방식인 환원주의(reductionism)가 퇴색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인 
전체주의(wholeness,totality)가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러
나 서구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패러다임은 동양에서는 이미 과거  무한 
시간전 부터 삶을 대하는 기본적인 입장으로 갖고 있던 내용들입니다.   그
것을 산업화라는 거대한 물결에 힙쓸려 잠시 잊고 있었지만,  이제  우리는  
원래 우리의 보배를 다시 꺼내어 한 발 앞서서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여야  
할 필요을 느끼게 됩니다.
  패러다임이란 문명을 유지하는 제반 모든 요소들, 학문, 문화, 정치,  경
제등의 기본 사고 패턴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는 산업화 과정에서  요구되
었던 분석적인 사고 패턴이 주된 패러다임이었다면 앞으로는 통합적인 사고 
방식이 요구되는 것입니다. 컴퓨터를 예로 들면 지금까지는 많은  컴퓨터가 
일을 분담하여 처리하는 분산처리가 주요한 탐구 영역이었다면 앞으로는 단
순한 분산이 아니라 각각의 컴퓨터가 분산된 한 개의 컴퓨터가 아니라 전체 
컴퓨터를 다 내포하고 있는 형태의 새로운 개념에 의하여 시스템을  구성하
는 작업들이 탐구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작성도 지금까지의 작성  방
법(프로그래밍 기법, 디자인 기법(Top-Down, Buttom-Up)등)의 기능적인  면 
(HOW)에 촛점을 두는 것에서 무엇을 만드는 가(WHAT)에 촛점을 두는 개념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서구적인 패러다임의 한계점으로 인하
여 일어나고 있는 중요한 변화들 중 일부입니다.
  그러나 "불교란 무엇인가"에서는 상기한 내용들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학
문적인 내용이 아니라 실존적인 내용을 다루려고 합니다. 그와같은  과정속
에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패러다임인 전체주의도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
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