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geust (W2lcome) 날 짜 (Date): 2000년 7월 15일 토요일 오후 07시 22분 35초 제 목(Title): Re: [Q] G.729 format? G.729 is an 8 kbps Conjugate-Structure Algebraic-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CS-ACELP) speech compression algorithm approved buy ITU-T. 즉, CELP의 일종이며, Excitation code를 Conjugate-Structure Algebraic Code를 써서 Data가 좀 깨어져도 음질열화를 줄이도록 설계된 codec입니다. G.723.1은 ACELP고요. CELP가 뭐냐고요? -_-; Yahoo같은곳에서 한번 찾아보세요. -_-; 음성을 유/무성음으로 나누고, 그후 입안의 구조를 선형예측으로 모델링하고 목청의 떨림 등을 pitch로 모델링하죠. 그리고 error 신호를 (음성중 선형예측, 목청떨림 등으로 모델링할 수 없는 부분을.. 아니, 없다기 보다는..음. 그냥 모델링하고 남은 찌꺼기 신호라고 알면 되겠네요) excitation signal 으로 다시 모델링해서 입력음성을 옵티말하게 모델링해서 그렇게 구한 파라메타만을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그렇게 수신된 파라메타로 음성을 재조합하게 되죠. 이러한 구조를 CELP라고 합니다. 그리고, CELP에서 excitation code를 구하는 부분이 가장 계산량이 많이 필요한 부분이며, ACELP는 Algebraic-code를 이용해서 계산량을 줄인 것이며 CS-ACELP (G.729)는 아까 말했듯이, 대칭형으로 Algebraic code를 설계해서 어느 한쪽이 깨어져도 다른 쪽으로 비교적 손실이 적도록 음성을 재조합해낼수 있다는 것이죠. 더자세한것은 yahoo나 altavista같은곳에서 G.729, G.723, CELP, ACELP, CS-ACELP 등을 키워드로 넣어서... 보세요. :) 빠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