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minhae) <211.41.114.150> 날 짜 (Date): 2000년 6월 2일 금요일 오전 12시 25분 20초 제 목(Title): Re: [Q]이중슬릿실험시 빛의 입자성과 파동� 이 문제는 텍사스 A&M 대학의 스컬리가 선구잔데요. 양자 지우개라고 해서 입자의 경로를 측정한 시각이 마치 입자가 입자적으로 갈까 파동적으로 갈까를 결정했으리 라고 생각되는 시각 보다 나중처럼 보여 과거를 지운다는 의미로 양자지우개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 스컬리는 처음 생각해냈고, 이 제안에 가장 가깝다고 주장하는 실험이 작년에 매릴랜드 볼티모어에서 있었는데요 EPR 역리 실험에 자주 나오는 얽힌 광자쌍 (entangled phton pair) 이라는 걸 써 한 광자는 간섭을 시키고 다른 광자는 우리가 측정하죠 얽힌 광자쌍이라는게 특이해서 한 광자의 물리량들을 측정하면 저쪽 광자의 물리량도 바로 결정이 되기 때문에 간섭무늬를 만드는 광자 를 건드리지 않아도 쌍이 되는 광자 가 어디에서 왔을지를 조사하면 간섭무늬를 만드는 광자의 경로도 알 수 있죠 그래서 과연 이중슬릿을 통과하는 광자의 경로를 건드리지 않고 알아냈을 때 간섭무늬는 남아있을까 사라졌을 까.. 사라진다가 스컬리 의 예측이었는데, 이 실험에서도 사라진 걸로 나왔다고 하네요. 그런데 제 생각에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고요 오히려 이 실험이 양자역학에 치명타를 때릴 것 같군요 아직 확실히 정리가 되지는 않았네요 PRL 2000 년 1월 3일 자에 Delayed " Choice" Quantum Eraser 라는 논문에 나와있습니다 Volume 84 라고 나와 있군요 . .. 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