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outsider (하얀까마귀) 날 짜 (Date): 2000년 2월 23일 수요일 오전 12시 02분 05초 제 목(Title): Re: Re: [Q] 보름달 황도와 백도는, 천동설의 표현을 빌리는 것이 더 이해에 쉬울 겁니다. 지구를 우주의 중심에 세우고, 지구는 축을 중심으로 (축의 한쪽 끝은 북극성에 꽂혀 있고요..) 24시간에 한번씩 자전을 합니다. 이렇게 보면 태양은 지구의 주위를 1년에 1회씩 공전을 하는 모습이 되는데, 이때 이 궤도를 황도라고 합니다. 황도를 12토막을 내서, 그 구간에 있는 별자리들을 따서 붙인 것이 점성술이나 심심풀이 땅콩 별점에 쓰는 황도 12궁이라는 것이고요. 마찬가지로, 백도는 달이 지구를 도는 궤도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황도는 지구의 자전축에서 봐서 23.5도 기울어져 있고, 백도는 황도에서 몇 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구면에서 서로 기울어진 두 지름이 만나는 점은 두 개 뿐이므로, 황도와 백도가 만나는 점은 두 개 뿐입니다. 이 두 개의 점 중 하나를 태양과 달이 동시에 서로 가까이 지나칠 때는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으로 서는 일식이, 태양과 달이 각각 반대점에 있을 때에는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서는 월식이 있습니다. 보통의 보름달이나 그믐달은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으로 서지만, 태양과 달이 그 교차점 말고 다른 곳에 있을 때 생깁니다. -- @< //) `//<_ 하얀까마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