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kiky ( 박 용 섭) 날 짜 (Date): 2000년 1월 8일 토요일 오후 04시 16분 41초 제 목(Title): Re: the most ultimate vacuum? 잘 알지도 못하는 펜로즈 타일링이니 quasicrystal 이야기 보다는 진공이야기가 훨씬 전공에 맞군요. 10^-9 ~ 10^-10 Torr 정도되는 진공을 ultrahigh vacuum (UHV)라고 하는데, 약간의 경험만 있으면 이정도 진공 얻는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여기서 조금만 더 노력하면 5x10^-11 Torr 정도도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죠. 이보다 더 내려가서 10^-12 ~ 10^-13 Torr 정도 되면 extreme high vacuum (XHV) 라고 부르는데, 이 정도를 얻기 위해서는 몇가지 특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진공 용기를 만들고 이 안의 기체를 진공 펌프로 열심히 뽑아서 진공을 만드는데, 아무리 열심히 펌프질을 해도 완벽한 진공(아무 개스도 없는 상태)가 안되는 것은 펌프가 뽑아내는 만큼 진공용기 벽에서 개스가 기어 나오거나 벽에 붙은 개스가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outgassing). 즉, 빼내는 펌프하고 기어나오는 개스간에 소위 dynamic equilibrium이 형성 되는데, 이게 보통 우리가 진공을 얻는 방법입니다. 물론 엄청 빨리 빼내는 펌프를 쓰면 진공이 분명히 좋아 지겠지만, 진공용기 벽에서 기어나오는 개스를 줄이는 것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보통 진공 용기 벽에 달라 붙어 있으면서 펌프질을 해도 잘 안떨지는 것은 물분자고, 계속 펌프질을 해도 계속 용기 벽에서 기어 나오는 것든 수소개스 입니다. 따라서 XHV를 얻기 위해서는 진공용기의 내부 표면을 어떻게 처리 하느냐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화학적 처리를 하기도 하고, 여러 방법이 동원되지만 아직 실용적이지는 못합니다. 왜냐면 이렇게 처리한 진공용기 만 달랑 놓고는 XHV 까지 갈 수 있지만 여기에 실험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붙이면 실험장비에도 이런 처리를 할 수는 없기 때문에 XHV를 얻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 되기 때문이죠. XHV를 얻기 위해서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진공 용기를 vent 할 때, 즉, 진공을 깨뜨릴때, 진공용기에 어떤 개스를 넣느냐는 겁니다. 그냥 방에 있는 공기를 넣어서는 안되고, 수분이 철저하게 제거된 아주 dry한 질소 개스를 넣으면 진공용기에 달라붙을 물분자가 없어서 XHV에 쉽게 도달 한다고 합니다. 이상 쫌 아는 것이 나와서 장황하게 떠들어 봤습니다 ! ------- 박 용 섭 (Yongsup Park) | +82-42-868-5397(O), 5032(F) Surface Analysis Group, KRISS | park@kriss.re.kr P.O. Box 102, Yusong | http://www.surface.kriss.re.kr/~park/ Taejon, 305-600, KOREA | Amateur Radio: DS3GL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