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cdpark (박종대) 날 짜 (Date): 2002년 11월 9일 토요일 오후 11시 08분 53초 제 목(Title): Re: 단백질 형성의 (불)가능성... >결론적으로 말해서 '엄청난 수의 유기화합물 중 단 20개의 아미노산만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20/(엄청난 수)의 확률보다 훨씬 더 크게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이란 말씀이죠. 이 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20개든 30개든 아미노산이 모여서 형성 된 천문학적 숫자의 단백질 library가 모여있어 지들끼리 경쟁할 수 있어야합니다. 물론 상상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 천문학적 숫자의 단백질이 있어야만 경쟁이 벌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단 두 종류만 있어도 경쟁이 일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어떤 상황에서 네 종류의 아미노산으로만 만들어진 효소가 생겨서 이 효소가 이 네 종류의 아미노산 생성을 유리하게 만드는 상황이 벌어지면 충분하죠. 그럼 이 네 종류의 아미노산의 농도가 이전보다 높아질테고, 이 네 종류의 아미노산으로 만들 수 있는 다른 효소의 출현 확률 역시 높아지겠죠. 이런 식의 되먹임을 통해 20여개의 아미노산이 선택된 것이겠죠. 또다른 되먹임 경로를 거쳤다면 어쩌면 19개나 22개일 수도 있었을테고요. -- 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