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babs (창조가) 날 짜 (Date): 2002년 11월 1일 금요일 오전 11시 14분 46초 제 목(Title): Re: 전자렌지 안의 음식양과 소비전력의 관 전자렌지를 사용하다가 문득.. 음식이 없는 상태에 비해, 음식양이 많으면 소비전력이 커질까요? 아니면 상관없을까요? 1. 상관있다면 (음식이 많을수록 소비전력이 커진다면) 음식이 많은 걸 어케 알고 전자파를 많이 쏜다는 얘기인가요? 온도측정 같은 건 안 하는 거 같은데.. 2. 상관없이 똑같다면, 음식이 있으면 전기에너지가 음식의 열에너지로 되는 건데, 음식이 없다면, 소비된 전기에너지는 어디로 가는 건가요? ------- 1. 음식이 많으면 오래 데워야 하니까 소비전력이 커지겠져. 2. 가스렌지로 쥐포하나를 굽건, 소뼈를 고건 단위시간당 소비되는 가스량은 똑같져. 단지 뼈를 고기 위해서는 *오래* 가열하는 거져. 냄비와 접촉하지 못한 가스불은 부엌공기를 데우는데 쓰이겠져. 냄비도 부엌공기를 데우지만 음식도 동시에 데워지구여. 음식도 없는데 전자렌지를 돌려도 전자파는 방사되구 렌지벽에 흡수되던지 반사되던지 하겠져. 그래도 그 전자파를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단위시간당 전력은 일정하구여. 음식이 데워지는 원리는 전력이나 가스열이 음식을 데우기 위해 노력하는게 아니라, 전자파나 가스불이 방사되는 공간에 음식도 덩달아 데워지는 것일 뿐이져. 전자파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4천만이 TV를보던 400명이 TV를 보던 방송국은 동일한 세기의 전파를 보내져.(한 지역내에선) 그러면 가스불의 경우 덩달아 부엌공기도 데우느라 낭비가 되는데, 이 열도 흡수하기 위해 철망을 덧대는 상품도 홈쇼핑같은데 나오곤하져. 가스비 절약 어쩌구 하면서여. TV전파도 아깝다면 전부유선방송으로 바꾸고 TV를 켤때만 방송보내게하구여. 그러고보니 태양에너지도 낭비네요. 24시간 켜 있는데 밤에는 지구가 자전 하느라 데우지못하니 태양전지판 위성을 잔뜩띄워서...헉..오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