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iEncE ] in KIDS 글 쓴 이(By): thanks (박_병_호) 날 짜 (Date): 2001년 5월 17일 목요일 오전 10시 58분 08초 제 목(Title): Re: 이중슬릿 실험 |여러 분이 답변 써 주셨는데.. 감사드립니다.. |(아 그리고 soulman 님 저는 하이텔에 아디가 없습니다^^) | |일단.. 궁금한 것이.. | |a. 포톤 하나만을 컨트롤할수 있다고 치고.. 단 한개를 쏴주어도 | 이중의 피크 패턴이 나타나느냐... | (실제로 네이쳐에 싱글포톤 디텍트에 대한 논문이 실렸던 걸로 아는데) | (저는 하나만 쏴줄 때는 안 나타난다고 알고 있거든요..) | |b. 만약에 a 의 답이 "안 나타난다" ..즉 그냥 한 개의 spot 으로 나온다이면 | .. 이 시점까지의 결과만을 두고 볼 경우에.. 쏘아준 포톤이 "순전히 입자" | 라고 해석하더라도 아무 이상할 것이 없지 않느냐.. | |하는 것인데요.. 그럼 여기서 알쏭달쏭한 것이.. 드브로이의 물질파 아이디어랑 |매치가 되는지 하는 겁니다. |드브로이 물질파 아이디어는.. 입자 "하나하나" 에 대한 기술 아닌가요? 그런데 |위와 같은 방식으로 이중슬릿실험을 이해한다면 드브로이 아이디어가 이 실험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아무 쓸모가 없게 되잖아요.. 입자 하나하나가 갖는 파동성 |이 아무 효과(?) 를 발휘하지 못하니까요.. | |혹시나 입자가 갖는 파동성이, 많은 수의 포톤을 쏴줄 경우에 보이는 경향 그 |자체를 말하는 게 아닌가 생각해봤는데.. 그건 아닌 거 같거든요. 정말 그렇다 |면 양자역학 그 자체가 별로 생각할 거리도 없는 게 아닌가 싶은데요.. | |양자역학 알게 된지 얼마 안 되는 학부생이니 질문이 좀 말이 안 되더라도 이해 |해주세요.. ^^ | | a. 하나의 포톤을 쏴 주었을 때는 하나의 spot 이 나옵니다. 단 그 스팟이 스크린 상의 어느 위치에 나타나는가 하는게 문제죠. 그 위치는 정확히 wave 의 간섭 무늬로 결정되는 확률 분포를 따르는 거구요. 따라서 여러개의 포톤을 연속 해서 쏘면 연속해서 한개씩의 spot들이 생기지만 이런 점들이 모여서 간섭 무늬 pattern을 형성하는 거구요. b. 앞의 답에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것 같군요. 포톤은 스크린과의 물리-화학적 반응을 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당연히 하나의 포톤이 스크린의 여러 점과 동시 다발로 반응을 할 수는 없겠죠. 따라서 하나의 spot 이 만들이 지지만 그 확률은 파동함수에 의해서 결정 되는 거구요. 위의 결론은 전자와 마찬가지로 광자도(입자라는 입장을 견지한다면) 두개의 슬릿을 하나의 광자가 동시에 통과를 하면서 스스로와 간섭을 하는거죠. 전자도 마찬가지구요. 그래서 입자-파동 duality 같은 개념도 나오는 거구요. 신기하지 않나요? 전 학부 때 이런 점 때문에 양자역학 배우는 내내 혼란스러웠 는데... "꿩 잡는게 매"란 답 밖엔 들은 기억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