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laryMan ] in KIDS 글 쓴 이(By): pkp (~~~pkp~~~) 날 짜 (Date): 1999년 9월 6일 월요일 오전 12시 47분 46초 제 목(Title): `근무시간에 학원 다닌다'-학습휴가제 도입 `근무시간에 학원 다닌다'-학습휴가제 도입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 = 앞으로 직장인 등은 근무시간을 이용, 학원 등을 다니면서 컴퓨터나 어학 등을 배울 수 있게 된다. 또 화상강의, PC통신 등을 통해 교육을 받고 학점.학위를 따는 사이버 교육기관도 등장하고 인간문화재나 문하생은 정규 교육을 받지 않아도 학위가 인정된다. 교육부는 최근 국회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평생학습법'이 제정됨에 따라 구체적인 시행방법을 담은 시행령을 만들어 내년부터 적용키로 했다고 5일 밝혔다. 법안에서는 직장인이나 공무원 등의 안정적인 계속교육 및 재교육을 위해 매년 일정기간 유급 또는 무급 휴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학습휴가제를 도입했다. 이는 유럽 등 외국에서는 일반화된 제도로 근무시간 가운데 연간 150∼180시간 정도를 직장에서 학습비를 보조받거나 자신이 비용을 부담, 컴퓨터나 어학 등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육부는 현재의 경제여건을 감안, 이 제도를 의무화하지는 않되 회사 사정에 맞게 직원복지 차원에서 가급적 도입하도록 권장하고 유도할 방침이다. 또 방송이나 케이블TV, PC통신, 인터넷, 화상강의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원격대학이나 원격학원, 원격연수원 등 학위 또는 비학위과정을 운영하는 `사이버 교육기관'도 등장한다. 따라서 전문대나 대학이 운영하는 사이버 대학을 통해 직접 전문대 및 대학과정의 학점과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되며 사이버 학원을 통해 얻은 학점은 학점은행제에 의해 누적돼 일정 학점이 쌓이면 학위를 받게 된다. 사업장에 고용된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내(社內)대학도 양성화, 일정 설립조건과 교육과정을 갖출 경우 정식 학위를 인정해준다. 이와 함께 도자기, 판소리 등 전통문화예술의 인간문화재 및 이들로부터 사사하거나 전수기관에서 일정한 교육을 받은 문하생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학력을 부여하는 문화재 및 문하생 학력인정제도 도입된다. 이밖에 교육전문 인적자원을 대학 시간강사나 각종 연수기관 강사, 적성.특기교육 강사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강사정보은행제와 개인의 학습경험을 종합 누적관리하는 교육구좌제도 실시된다. keykey@yonhapnews.co.kr(끝) 1999/09/05 08:31 송고 ~~~~~~~~~~pkp~~~~~~~~~~~~~~~~~~~~~~~~~~~~~~~~~~~~~~~~~~~~~~~pkp~~~~~~~~~~~~ ^_^ 키즈의 아저씨 pkp palindrome ^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