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xLife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sExLife ] in KIDS
글 쓴 이(By): claudia (가 아님...맧)
날 짜 (Date): 1998년01월21일(수) 17시22분03초 ROK
제 목(Title): 근친혼에 대해서 고려해야 할 것...


근친혼의 억제의 상당부분은 사회가 어떤 관념적인 가치를 도덕을
통해 전파하는 과정 중에 지나치게 확대되었다는 것은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지나치게 확대된 것 중에는 우리나라에서 동성
동본의 혼인을 금하던 관습이 포함되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근친혼의 금지가 단순히 어떤 관념적인 가치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유포되었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이유가 우생학적으로 근친교배가 돌연변이 기형의 가능성을
높이다는 것이다... 잘 기억이 나지 않는 아주 오래 전에 남미 문
학자가 노벨상을 탄 적 이야기를 하면... 상을 탄 소설 제목이 "백
년간의 사랑"이던가로 기억되고, 그 소설을 읽지는 않았지만 소설
내용 중에 주인공이던가가 이모와 결혼을 하는데, 이모와 결혼하면
돼지꼬리 달린 아기를 낳는다(혹은 그 비슷한 무엇)는 전설대로
그런 아기를 낳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들었다...
너무 불확실한 기억을 이야기해서 미안하지만, 그 만큼 근친혼이
가지는 위험에 대한 인식은 널리 세계적이었고, 그것이 근친혼을
금하는 도덕적 요구에 대한 실제적 근거가 널리 받아들여졌다는
점을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근친혼을 금하는 또 다른 실제적인 근거는 근친혼이 가족관계의
파괴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사촌 정도와 근친혼을 허용하는
것은 우생학적으로 위험하지만, 가족관계의 파괴까지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근친혼을 전면적으로 허용해
1촌(부모 자식)이나 2촌(형제)간의 결혼을 허용한다면 어떨까?

위에 글 중에 동성애유전자가 생물학적 이득을 주기 때문에
진화과정 중에 살아남은 것인가를 고찰할 필요를 이야기한
글을 퍼온 분도 있던데, 비슷한 이유로 우리가 생각하는 '바람
직한' 가족관계가 도태되지 않은 것이 사회에 어떤 이득을 주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현대 사회에서 선호되는 가족관계가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지(가장 이득을 많이 주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현재의 가족관계가 상상 가능한 다양한 가족관계 중
최선은 아니더라도 사회의 안정을 위한 충분한 선택의 하나가
될 수는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런 가족관계가 대안없이 파괴
되는 것에 사람들이 어떤 위협감을 느끼는 것은, 단지 도덕의
파괴라는 관념적 가치의 문제일 뿐 아니라, 안정된 사회적 관계의
추구라는 실제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야기가 좀 완결되지 않았는데... 좀 더 다른 생각을 들으면서
완결해야 할 듯...

                                               - limelite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