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xLife ] in KIDS 글 쓴 이(By): Nevido (될데로되라맧) 날 짜 (Date): 1998년01월13일(화) 21시22분45초 ROK 제 목(Title): Re: to abeke를 쓰신 게스트님. 싱가폴은 좁은 땅덩어리에 바글바글 모여사니 산아제한으로 좀 줄여보자는 식입니다. 근데 이게 평범한 방법이 아니라서 문제죠. 싱가폴은 이광요수상의 독재로 철저히 경찰국가화된 나랍니다. 인종 자체도 중국인,말레이인,인도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제와 정치를 꽉쥔 중국인은 세 계급을 차별화하는 정책으로 나라를 이끌고 있습니다. 산아제한도 당연히 차별적인데 싱가폴대학 출신의 제원은 국가에서 보조금을 줘가면서까지 아이수를 늘일것을 권장받습니다만. 좀 하층민은 경찰의 감시하에 산아제한받게 됩니다. 수시로 전화걸어서 확인하고 밤에 들이닥쳐서 부부생활을 방해하죠. 꼬딱지 만한 나라에서 인도인들은 눈꼽만한 지역에 주로 모여삽니다. 우리나라의 지하철이란게 싱가폴에서는 MRT라고 부르는건데 이건 아예 인도거리에서는 서지도 않습니다. 굳이 하층민들에게 그런 혜택을 줄 필요는 없다는 거죠. 그외에 여러 차별적인 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계 유수의 대학인 싱가폴 대학은 영어 외에 중국어가 필수입니다. 중국계 외의 싱가폴인들에게는 문이 더 좁을 수 밖에 없지요. 비교적 복지가 잘되어 있는 편인데도 의료혜택은 안됩니다. 세계 최대의 산부인과 전용병원이 싱가폴에 있는데 한번 입원할려면 500만원 (지금은 1000만원이 넘겠군요. -_-;)이나 필요합니다. 물론, 이러니 저러니해도 우리나라 노동자들 보다야 대우가 괜찮겠죠. 게다가 문제는 이광요수상의 독재에도 불구하고 워낙 청렴하다고 소문이 났고 능력을 인정받고 있어 대다수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어 당분간은 이런 상황이 지속될것이란 점입니다. 그리고 세계 각국의 독재자들이 이광요를 하나의 모범으로 삼고 있어 독재의 당위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독재자들이 이수상만큼의 청렴성 이나 능력도 없다는 것이겠지요) 왜 우리는 성공하려고 그처럼 필사적으로 서두르며 일을 추진하는 것일까? 어떤사람이 자기또래와 보조를 맞추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가 그들과는 다른 고수의 북소리를 듣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남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자신의 봄을 여름으로 바꿔야 한단 말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