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litary ] in KIDS 글 쓴 이(By): Defcon (데프콘) 날 짜 (Date): 2004년 10월 15일 금요일 오후 01시 25분 02초 제 목(Title): 학익진 학익진(鶴翼陣)과 정(丁)자 타법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자. 학익진은 기본적으로 그림에서 보듯이 적은 아군에게 종대가 되도록 하고, 아군은 횡대가 되도록 배치하는 형태에 적을 감싸 안듯 양 날개가 휘어진 배치가 된다. 이런 배치는 아군의 포격 유효 사거리 안에 적을 최대한 집어넣기 위한 것이다. 4열 종대의 적선 100척과 이순신 장군의 함대 10척이 대적을 했다면, 병력의 차이는 100:10이지만 접전하는 시점에서는 4:10이 되어 그 비율이 역전된다. 이 같은 원리를 실전에 적용한 것이 학익진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실전에서는 이대로 되지는 않겠지만, 하여간 늘어선 적을 향해 아군으로 깔때기 모양을 만들어 에워싸는 것은 전투병력의 투입 비율에서 상당한 차이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여기에 이순신은 본문중의 설명처럼 함포전을 통한 일정한 거리의 유지로 그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다시 이순신은 조선 수군이 보유한 판옥선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더욱 큰 효과를 창출해 낸다. 즉 판옥선의 특징을 이용한 것인데, 이 배는 배의 바닥이 평평해 빠르게 달릴 수는 없으나, 홀수선(배가 물속에 잠기는 선)이 낮아 수심이 낮은 서해에서 유리하며, 특히 양측의 노를 반대로 젓는 것으로 제자리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자리에의 회전은 판옥선을 쉽게 돌려 측면에 설치된 화포를 적에게 발포함으로써,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2문 내외의 화포에 비해 5배인 10여문의 화포를 빠르고, 또 일시에 발포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학익진의 형태에서 종대로 내려오는 적은, 위의 예에서 4척이 각각 2문씩 총 8문의 화포를 발포할 수 있지만, 이순신의 판옥선은 학익진으로 4:10, 다시 화포에서 8:100의 비율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즉 화포전을 계속하는 한 100:10의 전세는 8:100으로 역전된 것이다. 다시 판옥선의 제자리 회전 기능을 적극 활용한다면, 좌현의 포를 발포할 때, 우현은 장전을 하고, 발포가 끝나면 배를 회전시킨다. 이 시간에 발포를 마친 좌현은 장전을 하고, 장전이 끝난 우현이 적에게 향하면 다시 발포한다. 다시 배는 회전하고 회전이 끝나면 장전이 마쳐진 좌현이 다시 발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서 앞서의 8:100은 다시 8:200의 비율로 역전이 된다. 바로 이것이 정(丁)자 타법으로 적선에 화포가 많은 측면을 향하게 하는 것이 핵심인 것이다. 위의 학익진도는 바로 학익진과 정자타법이 동시에 적용되는 형태인 것이다. 이쯤의 설명이 충분한지는 모르겠으나, 이 전술을 고안하고 실천한 이순신이 왜 대영웅이고, 대제독인지는 분명한 것이다. 설명을 통해서는 쉽게 느껴질 수 있으나 이순신이 이와 같은 전술을 사용하고 있을 때, 이에 당하기만 했던 10여만 이상의 왜군들은 임진왜란이 끝날 때까지 아무도 패전의 원인을 찾아내지 못했다. 또 본문중의 내용처럼 이 전술의 원리를 일본이 알아낸 것은 300년이나 지난 후였으며, 이순신 이후 대략 이때쯤까지 전세계의 해전은 계속 접현전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다. 즉 이순신은 이순신 이후 가장 빨리 이 전술을 고안한 사람보다 300년이나 빨랐던 것이다. 이순신의 학인진도를 보면 얼마나 정교한 진형인지 감탄하게 된다. 그림의 학익진 형태(즉 포위진형)는 이 진형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약점을 완벽하게 커버하는 것이다. 그 약점의 첫번째는 이런 진형에서 함포의 사거리가 충분치 못하거나 정확도가 떨어질 경우, 함포의 영향을 받지 않는 중심부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런 진형을 상대하는 측이 충분한 이동속도(여기서는 배의 속도)를 가지고 있고 원추형의 진을 구성해 중앙을 빠르게 돌파하는 종심돌파를 통해 진의 중앙을 깨고 좌측이나 또는 우측으로 돌아 들어가면 순식간에 상호간의 위치, 즉 횡대와 종대의 위치가 반대가 되고, 병력은 반으로 나뉘어져 각개격파 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에서의 학익진도는 학익진 안에 작은 학익진을 배치한 형태로, 진의 중심부에 발생할 수 있는 사각지대를 없애면서 병력의 집중을 통한 종심돌파마저 확실하게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흐르는 물살과 바람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런 형태의 진을 수십척의 함선이 유지하기란 매우 어렵다. 모든 함선이 제자리를 고수하는 것도 어려운데, 레이더 등이 없어 정확한 위치를 알기도 어렵고, 육안에 의해 수평적으로 밖에 볼 수 없는 바다에서 진의 형태를 바로 잡으며 위치를 관리하는 지휘부는 더욱더 어렵게 마련이다. 실전에서 이런 형태의 진형을 그것도 평지에서의 육군이 아닌 바다에서의 수군이 유지해 완벽하게 운영했다는 것은 이순신이 단순히 전략과 전술의 귀재일 뿐 아니라 경영의 귀재이기도 했음을 짐작케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