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veNfriendship ] in KIDS 글 쓴 이(By): july () 날 짜 (Date): 1994년05월20일(금) 16시55분10초 KDT 제 목(Title): 사랑도 공부해야 한다???? 윤현정 (BETTY ) 사랑도 공부해야 한다????? 05/17 13:45 211 line 아래의 내용들은 제가 좋아하는 김중술 선생님의 글 중 한 부분을 간 추린 글임을 먼저 밝혀 둡니다. 요즈음 이곳을 비롯한 여러계시판에서 성에 관한 문제 가 이슈로 떠 오르면서 "사랑" 이 배제된 "성" 이 난 무하는 것이 마음이 아파 몇자 올려 봅니다. 흔히들 사랑은 책임감, 친밀감, 그리고 열정으로 구성 된다고 하는데, 만약 사랑의 이 세 가지 요소들은 각각 측정 해 낸다면 그 사랑의 양을 알수 있응까? 그것은 대 단 히 어려운 작업이다.왜냐햐면 사랑의 의미가 혹은 사 랑이 표현 되는 양식이 사람에따라 너무나 다르기 때 문이다. 나의 애인이 나를 얼마만큼 사랑하는지를 알 고 싶은데,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나의 애인이 나를 어떤 방식으로 사랑하는 지를 알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게 되면 애인이 갖고 있는 사랑의 양을 알 수 있을까? 저자가 알기 로써는 아직도 사랑의 양 을 계량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사실 서로가 갖고 있는 사랑의 양에 집착하는 것은 얻 는 것보다는 잃는 것이 더 많은 피곤한 일이며 오히려 상대방의 사랑하는 방식을 알아보니 나와 잘 맞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더 실제적이며 현명한 일이라고 생 각된다. 상대방의 사랑이 얼마나 순수한가? 이것도 확인하기 어려운 작업이다. 왜냐하면 사랑이란 각자가 사랑이라 고 생각하는 바로 그것이 사랑이기 때문이다. 사랑은 단 한가지 의미만 갖고 있는 유일개념이 아니라 사랑 은 여러 의미와 여러 표현 방식과 그리고 여러 모양을 가지고 있는 요술상자와도 같은 것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각자가 생각하고 있는 사랑의 의미 이며 각자가 표현 하는 사랑의 행동이다. ====애정형 척도 검사============================== 아래의 질문은 아니오 혹은 그렇다 로만 답하여야 한 다. 그 둘다 아닐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것에 답하도 록 한다. 1. 나는 첫눈에 반한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2.나는 한참 지난 다음에야 비로소 내가 사랑하고 있 음을 알았다. 3.우리들 사이의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나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4.현실적인 관점에서 나는 사랑을 고백하기 전에 먼저 나의 장래목표부터 생각해 보지 않으면 안된다. 5.먼저 좋아하는 마음이 얼마 동안 있은 다음에 비로 소 사랑이 생기게 되는 것이 원칙이다. 6.애인에게 자신의 태도를 다소 불확실하게 해두는 것이 언제나 좋다. 7.우리가 처음 키스하거나 볼을 비볐을때 나는 성기에 뚜렸한 반응(발기,축축함)이 옴을 느꼈다. 8.전에 연애 상대 였던 사람들 거의 모두와 나는 지금 도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9.애인을 결정하기 전에 인생설꼐부터 잘 해두는 것이 좋다. 10.나는 연애에 실패한 후 너무나 우울해져 자살 까지 도 생각해 본적이 있다. 11.나는 사랑에 빠지면 하도 흥분되어 잠을 이루지 못 하는 때가 있다. 12.애인이 어려운 처지에 빠지면 설사 그가 바보처럼 행동한다 하더라도 힘껏 도와주려고 노력한다. 13.애인을 고통받게 하기보다는 차라리 내가 고통 받 겠다. 14.연애하는 재미란 그것을 진행 시키면서 동시에 내 가 원하는 것을 거기서 얻어내는 재주를 시험해 보는 데 있다. 15.사랑하는 애인이라면 나에 관하여 모르는 것이 있 더라도 그것때문에 그렇게 속상해 하지는 않을 것이 다. 16.비슷한 배경을 가진 사람끼리 사라하는 것이 가장 좋다. 17.우리는 만나자 마자 서로 좋아서 키스 했다. 18.애인이 행복하지 않다면 나도 결코 행복해질수 없 다. 20.대개 제일 먼저 나의 주의를 끄는 것은 그 사람의 상냥한 외모이다. 21.최상의 사랑은 오랜 기간의 우정으로 부터 싹튼다. 22.나는 사랑에 빠지면 다른일에는 도무지 집중하기가 힘들다. 23.그의 손을 처음 잡았을때 나는 사랑의 가능성을 감 지 했다. 24.나는 어느 사람하고 헤어지고 나면, 그의 좋은 점 을 발견하려고 무진 애를 쓴다. 25.나는 애인이 다른 사람하고 같이 있는 것 같은 생 각이 들면 도저히 견딜수 없다. 26.나의 두 애인이 서러 알지 못 하도록 교묘하게 꾸 민 적이 적어도 한번은 있었다. 27.나는 매우 쉽고 빠르게 사랑했던 잊어버릴수 있다. 28.애인을 결정하는데 하 가지 가장 고려해야 할 점은 그가 우리 가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는 것이다. 29.사랑에서 가장 좋은 것은 둘이 함께 살며 함께 가 정을 꾸미고 그리고 함께 아이들을 키우는 일 이다. 30.애인이 소원 성취를 위해서라면 나는 기꺼이 나의 소원을 희생 시킬수 있다. 31.배우자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점은 그가 좋은 부모가 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 다. 32.키스나 포웅이나 성 관계는 서둘러서는 안된다.그 것들은 서로 충분히 친밀해지면 자연 스럽게이루어지 는 것이다. 33.나는 매력적인 사람들과 바람 피우는 것을 좋아한 다. 34.나와 다른 사람들과 사이에 있었던 일을 애인이 더 러 알게 되면 매우 속상할 것이다. 35.나와다른 사람들과 사이에 있었던 일을 애인이 될 사람의 모습을 분명히 정해 놓고 있다. 36.만일 나의 애인이 다른 사람의 아기를 갖고 있다면 나는 그 아이를 내 자식 처럼 키우고 사랑하며 보살펴 줄것이다. 37.우리가 언제부터 서로 사랑하게 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38.나는 결혼하고 싶지 않은 사람하고는 진정한 사랑 을 할 수 없을 것 같다. 39.나는 질투 같은 것은 하고 싶지 않지만 나의 애인 이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가진다면 참을 수 없을 것 같다. 40.나의 애인에게 방해가 된다면 차라리 내가 그만 두 겠다. 41.나는 애인것과 같은 똑 같은 옷, 모자, 자전거, 자 동차,등 을 갖고 싶다. 42.나는 연애하고 싶지 않은 사람하고는 데이트도 하 고 싶지 않다 43. 우리들의 사랑이 끝났다고� 생각될때에도 그를 다시 보면 옛날 감정이 되살아나는 때가 적어도 한 번쯤은 있었다. 44.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나의 애인이 마 음 데로 써도 좋다. 45.애인이 잠시라도 나에게 무심해지면 나는 그의 관 심을 되끌기 위하여 때로는 정말 바보 같떤 상대가 나의 데이 트 신청에 응하는 지를 시험해 보는 것도 재미 있응 것이다. 47.상대를 택할때 고려 해야 할 한가지 중요한 점은 그가 자신의 짓업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는 것이다. 48.애인과 만나거나 전화한지 한참 되었는데도 아무 소식이 없다면 그에게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49.나는 누구와 깊게 사귀기 이전에 우리가 아기를 가 지게 더리 경우 그쩍의 유전작 배경이 우리와 잘 맞는 지부터 먼저 생각해 본다. 50.가장 좋은 연애관계란 가장 오래 지속 되는 관계이 다. ======애정형 척도 검사와 채점법과 해석============ 채점 방법은 매우 간단 하여 각 척도 별로 그렇다 로 대답한 문항의 갯수를 합치기만 하면 도니다.그 합친 수를 척도 별로 퍼센트를 계산 하여 백분율 값이 가장 �습� 척도가 자신의 애정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 가장 좋은 친구 이타적 논리적 유희적 낭만적 소유적 ------------------------------------------------- 2 12 4 3 1 6 5 13 9 10 7 14 8 19 16 11 17 15 21 24 28 18 20 26 29 30 31 22 23 27 32 36 38 25 35 33 37 40 42 39 41 34 50 44 47 43 46 48 49 45 -------------------------------------------------- 합계 -------------------------------------------------- 즉 그렇다로 대답한 문항의 번호를 적어 앞의 표에서 세로(척도)별로 그 번호를 맞춘다. 그런 다음에 척도 별로 그렇다 로 대답한 그 번호들을 ㅉ춘다. 그런 다 음에 척도 별로 그렇다로 대답한 문항의 수를 세어 백 분율을 계산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예를 들어 가장 좋 은 친구 척도 에서 80%가 나오고 논리적 척도에서 60% 가 나왔다면 당신은 애인을 가장 좋은 친구로 삼는 사 람임과 동시에 사랑하는데 있어서 매우 실제적혹은 현실적)인 사람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흔히 이와 같은 질문 지형 검사에 응답할 경우에 검사 문항 과 직접적 관계가 없는 그 사람의 성격적 변인이 큰 역할을 할때가 있는데, 그것을 심리학에서는 반응 경향(responseset)이라고 부룬다.가령 애정형 척도 검 사에서 거의 모든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거의 모든 척도에서 낮은 점수를 받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러다고 해서 반드시 전자의 사랑은 특징이 없는 혼란된 양상이라든가 후자는 사랑할 줄 모르는사람이라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그 보다도 전자에 속하는 사람들은 어느 일부 에서만 그 렇다든가 혹은 가끔만 그러해도 그렇다로 대답하는 반 응의 행동이나 정서적 반응에 대하여 매우 조심 스럽 고 분석적인 사람이어서 질문지 문항에 대답할 때에도 그 같은 성격적 태도 가 혹은 낮은 사람들은 그 나른 데로의 의미가 있다.특히 선택적으로 낮은 척도들도 높은 척도와 똑같�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어떻습니까? 당신의 애정형은? 진실한 사랑을 하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하지 않을 까요? 사랑공부..... 다음에는 애정형 척도에 따른 사랑의 종류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BANPO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