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net ] in KIDS 글 쓴 이(By): AHMLHS (Hate All!!�@) 날 짜 (Date): 1994년08월24일(수) 23시23분46초 KDT 제 목(Title): Linux Tip 0.11 (From ARA BBS/Lectures) 다음은 아라비비의 Lectures 보드에 있는 mimi 님(키즈의 ant님)의 글을 무단복제 한 것입니다. Linux 쓰시는 분들께 참고가 되길 빕니다.. ------------------------------------------------------------------ 보낸이 (From) : mimi (오복일절) 시 간 (Date) : 1994년08월24일(수) 22시40분52초 제 목 (Title) : Linux Tip 0.11 Linux Tips 0.11 =================== '94. 8. 23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서 홍원 1. 램이 작은 시스템에서 리눅스를 올릴때. 리눅스를 올리기 위한 최소한 사양은 386sx-16, 하드 10-20메가, 램 2메가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설치를 시작하면 램이 작은 시스템에서는 잘 안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읍니다. 램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이럴때는 램이 부족한 만큼 swap영역을 잡아줘야 합니다. 자신의 시스템에 램이 4메가 뿐이라면, setup 하기 전에 먼저 swap영역을 잡고, mkswap하고, swapon하고 해보세요. 실제로 4메가 시스템에서 리눅스를 올리는 경우에 램이 작아서 인스톨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 나오는 에러 메세지가 렘이 부족하다느니 하는게 아니거든요.. 2. IDE 하드를 인식하지 못할때. 리눅스로 부팅을 할때 하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가끔 있읍니다. 이미 리룩스를 깐 상태가 아니라 새로 올리려고 할때 말이죠.. AMI BIOS를 쓰는 경우에 standard cmos setup에 하드 세팅을 해주는 부분이 있읍니다. 다음과 같이요 Cyln Head WPcom LZone Sect Size 1024 63 65535 1024 63 504 여기서 각각의 숫자는 제 하드의 경우 입니다. 일반적으로 하드 세팅을 할때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Cylinder, Head, Sector의 세가지 입니다. 가운데에 WPcom과 LZone은 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 0이 되어도 문제가 거의 없죠. 그런데.. WPcom과 LZone이 0 0 이 되니깐 리눅스에서 하드를 인식하지 못하더군요. 만약에 하드 인식을 하지 못한다면 WPcom은 65535로, LZone은 Cyln의 수와 같게 해주고 다시 해보세요. 위의 값들은 AMI BIOS의 Hard disk autodetect를 이용해서도 얻을수 있읍니다. 그러면 전혀 문제가 없겠죠? :) 모든 경우에 꼭 이렇게 한다고 하드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는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해결 할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되겠죠. 3. 처음 하드를 포멧할때. 리눅스 부팅 디스켓을 만들어서... 루뚜 디스켓도 맹굴구.. 부팅을 해서... fdisk루 리눅스 파티션 맹구러주구.. 다시 부팅을 해서.. setup을 할때... 파일 시스템을 골르구 포멧을 하게 됩니다. 이때.. 세가지 옵션이 있죠.. y, n, c y는 포멧을 하겠다는거구.. n은 안 하겠다는거구.. c는 포멧을 하되.. 배드 있나 채크두 가치 한다느거구.. 여기서 처음으로 리눅스를 올리는것이라면 c를 누르길 강력히 권합니다. y만 해두 되기는 되지만.. 가끔씩 kernel panic이 나오구 죽어버리는 수가 이껄랑요... 시간이 좀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담배 한대 필시간이 꼬박 걸립니다.) 다시 부팅하구.. 모하구. 하는거 보담은 빠르죠. 4. 리눅스를 올린다음에. 일단 리룩스를 성공적으로 다 올리신 다음에는 자신의 하드웨어에 맞게 커널을 다시 컴파일 해서 사용하세요. 기본적으로 들어 있는 커널은 이것저것 많은 하드웨어를 지원해주기 위해서 크기가 큽니다. 따라서 쓸데없이 속도두 느리구, 메모리도 많이 잡아먹고.. 자신에게 필요없는 많은 부분들이 들어있읍니다. 문제가 많죠.. 그러니깐.. 꼭 다시 컴파일해서 쓰세요. 5. 한글 메일을 쓸때. 네트에 물린 피씨에 리눅스를 깔았을때.. 한글 메일이 된다느거 정말 기분 좋은 일이죠.. 최우형님께서 만드시 han 시리즈를 깔고 나면 한글 메일을 사용할수 있읍니다. 그런데 한가지 해야 될일이 있읍니다. /usr/lib/smail/transports.hmail 이란 파일이 생기는데요, 한글 메일을 깔면, 이거만 하면 한글 메일를 주고 받을수 있느게 아니라, 이 파일을 transports로 카피을 하던 링크를 하던 transports란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해주세요. ln -s /usr/lib/smail/transports.hmail /usr/lib/smail/transports 이렇게 하면 한글 메일을 주고 받을수 있읍니다.. 단.. elm을 사용하길 권합니다. 최우형님께서 한글 메일을 만들때 elm에서 한글을 쓸쑤 있도록 한것이라 다른 것을 쓴다면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읍니다. 6. console에서 화면이 깨질때. 콘솔모드에서(text mode)에서 바이너리 파일을 실수로 cat을 하는경우가 있읍니다. 분명히 잘 돌기는 돌지만.. 화면에 나오는게 뭔지 전혀 알수가 없죠. 이럴때 다른 세션을 또 열고(alt+F?를 사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 이상하게 변한 화면에서 다음과 같이 처주세요. echo '\017' 이거 하나면 화면이 정상적으로 돌아옵니다. 그런데 bash에서는 안 먹습니다.. tcsh에서는 잘 먹는데... 7. 엑스를 그만두지 않고 console로 나가기. 엑스를 쓰다가도 텍스트 모드에서 작업을 해야 할 일이 있을수 있죠. text mode에서 virtual console 이 지원 되시는건 다 아실겁니다.. ALT+F1, ALT+F2... 이런 식으로 바꿀쑤 있죠. 엑스에서 text console로 나갈때는 CTRL+ALT+F1, CTRL+ALT+F2... 이런식으로 해주면 엑스의 graphic mode에서 text console mode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다시 엑스화면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ALT+F6 을 하면되구요. F6는 모든 리눅스에서 적용되는것이 아닙니다. /etc/inittab을 보면 virtual console을 어디까지 쓸껀지 지정하는 부분이 있읍니다.. 그러니깐 tty? 얼마까지 agetty를 돌리껀지 나오죠. 이렇게요.. ---------------------------------------------------------------------- # The getties in multi user mode on consoles an serial lines. # # NOTE NOTE NOTE adjust this to your getty or you will not be # able to login !! # # Note: for 'agetty' you use linespeed, line. # for 'getty_ps' you use line, linespeed and also use 'gettydefs' c1:12345:respawn:/sbin/agetty 38400 tty1 c2:12345:respawn:/sbin/agetty 38400 tty2 c3:45:respawn:/sbin/agetty 38400 tty3 c4:45:respawn:/sbin/agetty 38400 tty4 c5:45:respawn:/sbin/agetty 38400 tty5 ---------------------------------------------------------------------- 제 경우에는 tty5까지 사용하게 되어 있읍니다. 그러니깐 tty6부터는 비어 있죠. 엑스가 뜰땐 이렇게 비어 있는 tty를 사용합니다.. 커널을 컴파일 할때 virtual console의 갯수를 지정할수 있는데.. 보통 8개까지 입니다.. default로.. 그런데 만약에 tty8까지 모두 virtual console로 사용한다면 위와 같은 이유때문에 엑스가 안 뜹니다... 비어 있는 터미날이 없으니깐요. 8. 시디롬 마운트 할때. 커널 1.1.32인가부터 시디롬 마운트 하는게 변했읍니다. 전에는 그냥 이렇게 하면 마운트가 잘 되었지만.. mount -t iso9660 /dev/cdrom /cdrom 지금 제 시스템에서 위와 같이 하면.. mount: Read-only file system 이렇게 나오고 맙니다. 마운트가 안되죠.. 새 커널에서는 반드시 read only라는 옵션을 주어야 합니다. 이렇게요. mount -t iso9660 -o ro /dev/cdrom /cdrom 그럼 전처럼 잘 사용하실수 있읍니다. 음.. 그리구요.. 한가지 더!! 마운트 할때... 마운트에 실패하면 /etc/mtab~이란 파일이 생깁니다. 지금도 시험삼아 시디롬을 마운트하려고 했는데.. -o ro를 빼먹구 했더니 /etc/mtab~이 생겼어요.. 그러니깐 -o ro을 주구 해도 can't create lock file /etc/mtab~: File exists 이런 메세지만 나오고 마운트가 안되네요... 이럴땐 그냥 가차없이, 아무 생각없이 /etc/mtab~을 지워주세요.. 그럼 잘 됩니다. 9. Slackware Upgrade 슬랙을 사용하시는분이라면 새로운 버전이 나왔을때 업그레이드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겁니다. 하지만 먼저 있던것을 지우고 올린다는건 좀 끔찍한 일이죠. 또 개별적으로 올린 프로그램이 많이 있다면 지우고 다시 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겠죠.. 이때 아주 좋은 프로그램이 있읍니다. pkgtool이라구요. 슬랙의 경우에는 올린 프로그램들이 package로 묶여 있읍니다. 어떤 패키지를 올렸는지는 /var/adm/packages를 보시면 알수 있구요. "cd /var/adm/packages" 해서 "pkgtool"을 실행하면 설치된 패키지를 지울수도 있고, 새로운 패키지를 올릴수도 있읍니다. 제가 이번에 슬랙 1.2.0에서 2.0으로 올리면서 쓴 방법이 이 방법입니다. 먼저 슬랙2.0을 준비하시고(전 CD-ROM을 사용했읍니다.) 패키지 버전을 확인해보세요. 변한것이 없는 것은 그냥 둬도 되는것이고, 버전이 올라간 경우에는 먼저 있던 패키지를 지웁니다. 지우는건 pkgtool에서 remove를 하시면 됩니다. 새로 올릴것은 준비한 슬랙2.0에서 가저다 install하시면 되구요. 원래 슬랙에서는 패키지로 설치할때 파일들의 경로를 모두 저장하기 때문에 다른 파일들의 손상없이 깨끗하게 새 버전으로 바꿀수 있죠. ______________ ______________ / __ \_________) Seo Hongwon (_________/ __ \ / | |___) mimi@kaist.ac.kr (___| | \ / (\_|__) Applied Fluid Mechanics Lab., KAIST (__|_/) \ / (_____) +82-42-869-5014 (_____) \ -------- 그럼... 나만의 AHMLH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