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net ] in KIDS 글 쓴 이(By): mothy (나 방) 날 짜 (Date): 1999년 8월 17일 화요일 오후 05시 30분 15초 제 목(Title): Re: 아.. 코넷.. 여러가지 지적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뉴스 서버나 name 서버와 같은 서버 운영 측면에서 저희가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해드리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name server의 경우 오류로 인한 문제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서버 구조 변경작업이 곧(9월 이전) 있을 예정이므로 향후 좀더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뉴스 서버의 경우는 기사 누락의 원인이 뉴스피딩에 있는지, 혹은 저희 서버 관리에 문제가 있는지 아직 확인이 되지 않아 답변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제 추측으론 저희가 피딩을 받는곳에서부터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되며, 만약 이것이 전반적인 그룹내에서의 문제라면, 저희가 피딩을 받는 곳을 확장시켜야 할 것 같으므로, 주로 기사 누락이 일어나는 그룹이 어디인지 알려주신다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alt.binary.multimedia.?) 512K 전용선을 사용함에 있어, 그 네트워크에 512Kbps의 대역을 제공할 수 있다면 이상적인 서비스라 하겠지만, 그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입니다. 아마 시스코 라우터를 이용하셨다면, Cisco hdlc, 그 외의 라우터를 사용하신다면 ppp로 인한 약간의 (5%-10% 미만. 프로토콜 구현에 따라 다름) 대역 손실이 있으며, 사용하시는 가입자 네트워크 내부의 상황에 따라 호스트당 사용가능한 대역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호스트가 한대 물려 있고, 독점적으로 회선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접속하신 사이트가 kornet 외부에 위치하여, 타 isp,혹은 해외 회선등을 공유해야 하는 경우라면, (심지어는 KORNET 내부의 호스트라 하더라도) 완벽한 대역폭 지원은 아직까지는 현실화되지 않은 기술사항이라 어렵다고 밖에 말씀드릴수 없어 죄송합니다. 아직까지 인터넷은 최대로 제공을 하고자 하나 보장하지는 못하는 소위 Best Effort 서비스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휘트니님께서 얘기하시는 두루넷 사용자는 잘나오는곳은 T1도 더나온답니다란 말뜻이 정확히 이해가 안되는데, 512Kbps로 1.544Mbps 이상의 대역을 확보하실수 있다는 뜻인지, 혹은 data compression 등의 기술로 실 가입자에게 더 많은 대역폭을 제공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케이블 가입자들은 일반 pstn/isdn 에 비해 가입자 회선에서 더 많은 대역폭 사용이 가능하므로 백본만 잘 유지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아주 만족스러운 품질을 얻을수 있으실 것입니다. 이 부분, 즉 두루넷이나 하나로와 비견될 수 있는 코넷 서비스로는 adsl 이 있는데, 아직 완전히 상용화도지 않았고, 또, 전국에서 서비스가 되려면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부분은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서비스. 고객이 ok 할때까지란 모 통신회사의 모토처럼 저희 kornet도 그리 바뀌어야 한다고 다들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아마 회사의 덩치+오랜 관습에 의해 아직 고객이 불만을 가지실수 있는 부분이 매우 많다고 생각됩니다. 저희 대고객 상담실도 곧 대량 확충이 될 예정이고, 운영실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니 점차로 나아질것이라는 말씀이외엔 설명드리기가 어렵군요.. 끝으로 저희 백본은 현재 155Mbps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맞고, 현재로서는 이부분이 국내에서 용량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지는 않습니다. 사실 155 Mbps백본이란것이 그리 적은 용량은 아니지만, 이번 9.15일자로 2.5Gbps 백본이 완성되어 운영될 예정입니다.이 2.5 Gbps 백본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아직 많이 deploy 되지 않은 규모입니다. 따라서 백본 관련 불만 사항도 곧 해결이 되리라고 생각됩니다. 많은 지적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향후에도 전용선 가입자로서 생각되는 불만이 있으시면, 그리고 그것이 만약 코넷 망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것이라면, 개선할수 있도록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